尹정부도 인도지원 등 관련한
'민간단체 협력' 추진키로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이 인도적 지원물자 운송을 위해 북한 당국과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외부지원 거부'를 천명한 데다 코로나19 여파로 국경봉쇄 정책까지 유지해왔지만, 국제사회 차원의 지원은 일정 부분 수용하는 모양새다.
유니세프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공보담당관은 20일(현지시각)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유니세프는 앞으로 몇 주 안에 더 많은 인도주의 지원물자를 북한에 보내도록 북한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며 "이러한 계획은 북한 주민들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유니세프 공보담당관은 지난달 말 북한에 도착한 유니세프 지원물자와 관련해선 "검역과 소독 절차는 북한 당국에서 관리하고 있다"며 "이 과정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유니세프는 지난달 말 어린이와 임산부를 위한 결핵·홍역·풍진·파상풍 백신 등을 열차로 북측에 운송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영양실조 치료를 위한 식품과 식수, 위생용품 등도 함께 전달됐다고 한다.
북한은 유니세프로부터 재작년 10월 지원받은 2건의 물품을 각각 90일과 60일간 격리시킨 바 있어, 이번 지원물품도 격리 기간을 거쳐 주민들에게 공급될 전망이다.
최근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쌀을 대량 수입하는 등 외부물자를 속속 들여오는 흐름이 감지되고 있지만 '전면 수용'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 비정부기구(NGO) ACAPS(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최근 80개국 이상의 인도지원 상황을 분석한 '인도주의 접근성 개황(Humanitarian Access Overview)'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인도주의 단체들의 대북 접근이 지속적으로 제약받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민간단체들의 운신 폭도 과거보다 크게 줄어든 상황이지만, 윤석열정부는 내년 초 인도적 지원 등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을 통해 당국 간 접촉 가능성을 타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는 아주 소소하고 낮은 단계라고 해도 북한과 신뢰를 쌓을 수 있는 조치들을 찾아 나가면서, 북한이 대화를 선택하고 당국 간 접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바꿔나갈 것"이라며 "특히 내년 초 사회문화, 인도, 교역 부분의 민간단체 협력들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해, (남북) 당국 간 협력 여건을 조성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