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공식품 물가 전년비 7.8%↑13년만에 ‘최고’
코카콜라·생필품 가격 인상, 가공식품 가격 도미노
상승흐름 올해도 이어질 듯…“기업 선택지 많지 않아”
정점을 지나나 싶었던 장바구니 물가 상승이 새해 벽두에도 이어지고 있다. 식품업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정초부터 ‘도미노 인상’을 현실화하고 있다. 인건비와 물류비, 원재료비 상승을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가격을 줄줄이 인상중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작년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비 7.8% 상승에 달했다. 이는 2009년 8.3% 이후 13년만에 최고치다. 전년인 2021년에는 2.1%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3배 넘게 뛴 셈이다. 가공식품 총 73개 품목중 오징어채와 과실주를 제외하고 가격이 일제히 상승했다.
실제로 새해 첫날부터 일제히 가격이 오름세다. 그 중에서도 탄산 음료를 필두로 가격 상승이 이뤄졌다. 코카콜라는 지난 1일부터 편의점에서 파는 캔(350mL) 제품 가격을 기존 1900원에서 2000원으로 100원 올렸다. 페트병(1.5L) 가격도 3800원에서 3900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롯데칠성음료도 이달 1일부로 펩시콜라 캔 355mL와 펩시콜라제로 캔 355mL의 편의점 가격을 기존 1700원에서 1900원으로 200원씩 인상했다. 여기에 델몬트 오렌지(400mL)를 2000원에서 2200원으로, 옥수수수염차(340mL)도 1300원에서 1500원으로 변경했다.
기타 식품도 일제히 고공행진 하고 있다. 일례로 해태제과식품은 새해 첫날 편의점 만두 가격을 최대 10% 높였고, 동원F&B는 참치캔 제품과 치즈 제품군 50여종에 대한 공급가를 올렸다. 오뚜기도 ‘자른당면’ 제품 가격을 20.5% 조정했다.
이와 함께 원유가격 상승에 따라 아이스크림과 두유 가격도 올랐다. 매일유업, 남양, 빙그레 등 업계 주요 기업들이 유제품 100여종의 가격을 ‘벼락 인상’ 했다. 지난해 11월 단행된 원윳값 인상 여파로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한 밀크플레이션이 올들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인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지난해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물류대란 여파가 지속됐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까지 치솟으면서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상승했다. 전세계적으로 고환율과 인플레이션 상황이 겹치면서 기업들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한 해 두 차례 이상 제품 가격을 올리는 기업들이 계속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도 이와 비례해 커졌다. 그간 식품기업들은 주로 연초에 제품 가격 인상을 단행해왔지만, 지난해에는 연중에도 고환율로 인한 수입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수시로 제품 가격을 올렸다.
특히 해가 바뀌어도 끝나지 않은 인상설에 소비자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나서 부당한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있지만 기업들 입장에선 대외변수가 많은 상황에서 단기간에 수익성을 개선하려면 가격 인상 외에 선택지가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가공식품 물가상승은 향후에도 이어질 공산이 크다. 끝이 보이지 않는 가격 인상의 터널이 올 하반기 까지도 계속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 상황이다. 에너지 요금이나 인건비, 물류비 오름세가 계속되는 한 연쇄적인 가격 상승은 막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식품업계 역시 원재료 값 상승으로 인한 부담은 여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 등 온갖 악재들이 겹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밀·감자 등 주요 곡물을 수출하는 국가들이 저마다 수출 제한까지 걸면서 수급도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가공식품은 해당 식품을 제조하는 원물과 포자재, 공장 가동 비용, 물류, 인건비 등이 원가를 구성하는데, 현재는 원물의 가격 변동이 가격 인상을 일으키는 요인 중 가장 큰 부분”이라며 “안정세로 들어서지 않는 이상 추가 인상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추가 인상을 억제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며 “법인세 인하라든지, 규제 완화를 통한 비용 절감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유통가 복합위기③] 밥상물가 고공행진…새해에도 서민부담 가중>에서 이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