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투자 수익률 제고에 집중”
삼성자산운용은 ‘삼성 ETF를담은TDF’ 6종의 빈티지가 2년 중기 수익률에서 모두 ‘플러스(+)’로 전환했다고 31일 밝혔다.
전체 타깃데이트펀드(TDF) 상품군에서 모든 빈티지가 플러스 전환된 것은 이 상품이 업계 처음이다. 현재 ‘삼성 ETF를담은TDF’는 2030부터 2055까지 5년 단위로 빈티지를 나눠 총 6개 상품으로 운용되고 있다.
2020년 5월 설정된 이 상품은 글로벌 지수 상장지수펀드(ETF)와 국내외 주요 채권형 ETF, 금·리츠 등 대체자산 ETF를 편입자산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금융시장의 흐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러한 특징에 힘입어 지난 해 주식시장 급락, 채권금리 급등 국면에서 주식비중 축소 및 현금비중 확대, 짧은 만기의 채권을 중심으로 방어적인 운용을 해왔다며 지난해 4분기 이후 주식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내자 빠른 속도로 수익률이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이 상품은 자체 개발한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생애주기 자산배분)에 따라 ETF를 주요 자산으로 운용하는 만큼 운용보수가 9bp(0.09%)에 그쳐 국내 TDF 상품 중에 제일 낮은 보수를 적용하고 있다.
퀀트 전략 기반의 체계적인 자산배분 운용 및 변동성 관리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장기 성과를 추구하며, 장기투자일수록 유리해지는 구조가 특징이다.
특히, 대표적인 자산배분 전략인 주식60%, 채권40%로 구성된 혼합형 지수 대비 낮은 변동성으로 수익률도 지속적으로 우위를 나타내고 있는 점이 강점이다.
다만, 지난해 글로벌 주식시장이 급격히 하락한 영향으로 이 상품을 포함해 전체 TDF 상품 대부분이 1년 수익률에서는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퇴직연금 시장에 디폴트옵션이 본격 도입된 지난 해에 연금 대표 투자 상품인 TDF의 성과가 저조해 아쉬움이 컸는데 단기 수익률 회복에 이어 TDF 2년 수익률도 ‘플러스’로 전환된 만큼 분산, 장기투자의 장점이 다시 부각될 것으로 기대하는 시각이다.
삼성자산운용 멀티에셋본부 신재광 본부장은 “‘삼성 ETF를담은TDF’는 ETF 자산을 활용하기 때문에 낮은 보수 적용과 적극적 시장 대응이 가능해 상대적으로 작은 수익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고 수익률 하락에서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해 시장 하락으로 TDF 역시 어려운 한 해를 보낸 만큼 수익률 제고에 보다 더 집중해 TDF가 연금형 장기 투자자에게 좋은 투자 대상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