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대한 구상에 호응하라"
한미가 확장억지 강화를 골자로 하는 국방장관 회담을 뒷받침하는 차원에서 전략자산을 동원해 서해에서 연합공중훈련을 진행한 가운데 북한은 외무성을 통해 강한 불쾌감을 표했다.
'강대강 대응'을 천명해온 북한이 맞대응 차원의 군사행동 대신 말폭탄을 쏟아낸 데 대해 정부는 대화 복귀를 거듭 촉구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2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와 관련해 "북한이 위협과 도발이 아닌 대화와 협력을 선택해야 한다"며 "우리가 제안한 담대한 구상에 호응함으로써 '비핵·평화·번영의 한반도'를 만들어 가기 위한 대화의 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미국의 그 어떤 군사적 기도에도 '핵에는 핵으로, 정면대결에는 정면대결로!'라는 원칙에 따라 초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우리가 '확장억지력 제공'과 '동맹강화'의 간판 밑에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미국에 대해 일일이 반응하지 않는다고 하여 결코 이를 외면하거나 유념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며 이번 한미 훈련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상호주의를 대미 원칙적 입장으로 못 박아 두곤 '행동'을 삼가며 '말'로만 엄포를 놓은 셈이다.
'모순적 대응'을 의식한 듯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이 조선반도(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전략자산들을 계속 들이미는 경우 우리는 그 성격에 따라 어김없이 해당한 견제활동을 더욱 명백하게 할 것"이라며 향후 도발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