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계획 보다 5년 단축...민간건축물 지원사업도 추진
인천시가 오는 2030년까지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율 100% 완료를 목표로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한다.
20일 시에 따르면'지진·방재 종합대책'에 1985곳에 달하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율을 행정안전부에서 계획한 2035년보다 5년 단축해 2030년, 100% 달성으로 목표를 수정했다.
또 민간건축물의 경우 설계비를 포함해 내진 보강공사 비용의 20%(국비 10%, 지방비 10%)를 지원하는 '보강공사 비용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내진 성능평가를 완료한 민간건축물 중 내진 보강이 필요한 시설물을 이달 말까지 사업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시는 자부담 비율이 높은 만큼 행안부에 국비, 지방비 부담률 증대를 건의했으며 앞으로도 지원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다.
시는 지진 교육·훈련도 강화한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지진대피 훈련을 다시 실시하고,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지진피해 예방 어린이 뮤지컬 공연도 펼친다.
시는 읍면동 단위로 지역주민 100% 수용이 안 되는 곳에 지진 대피장소를 추가로 지정하고 대시민 재난 상황전파시스템 도입도 검토한다.
이 시스템은 지진 등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광판, 지역방송, 홈페이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다양한 전파매체를 통해 시민들에게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는 '노후 지진 가속도계측기 관리 강화', '매뉴얼 정비 및 대응체계 개선' 등 다양한 지진 방재 대책도 수립해 추진한다.
박찬훈 시 시민안전본부장은 "지진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이번에 수립한 지진 방재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