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기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내년 총선전 주민투표, 특별법통과..2026년 출범 목표


입력 2023.03.21 11:34 수정 2023.03.21 14:20        오명근 기자 (omk722@dailian.co.kr)

올해 비전 수립과 공론화, 2025년까지 특별법 제정과 보완, 2026년 7월 출범 등 향후 청사진 제시

올해 민관합동 추진위원회 위원 확대 구성. 기본계획 및 비전·발전전략 수립, 공론화위원회 구성, 다양한 기관과의 소통 강화 등 추진계획.

도민 의견 경청하고 시군과의 소통과 협력으로 공감대를 확산할 경우 2026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출범가능

경기도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관련, 내년 총선 이전에 도민을 대상으로 주민투표를 실시하고 특별법을 통과시킴으로써 2026년 7월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출범시키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서는 도는 도민들의 공감을 끌어내기위해 2023년 비전 수립과 공론화 과정을 거쳐 2023~2025년 특별법 제정과 보완, 2025~2026년 출범 준비 등의 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가 21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청사진을 발표하고 있다.ⓒ경기도청 북부청사 제공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21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정책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추진계획을 밝혔다.


오 부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 제정과 출범 준비 기간을 고려할 때 늦어도 2024년 상반기까지 특별법 제정 및 보완 입법 등이 국회를 통과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주민투표를 실시해야 한다”며“도민의 의견을 경청하고 시군 그리고 관계기관과의 소통과 협력으로 공감대를 확산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가 성공리에 출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 부지사는 도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된후 이르면 주민투표를 내년 총선 이전에 실시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오 부지사는 특별자치도 설치 이유로 지속가능하면서 지역특성에 맞는 독자적 발전 비전을 만들고 독립적인 의사결정권한과 실행력을 가진 광역자치단체 필요성을 들었다.

즉, 경기북부지역의 인적 물적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경기북부의 산적한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앞서 도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설치를 위해 작년 말 조직개편을 통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을 설치했고, 지난 1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추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오 부지사는 올해 주요 추진계획으로 민관합동 추진위원회 확대, ‘기본계획 및 비전·발전전략’ 수립, 범도민 공감대 확산 등 6개 사항을 밝혔다. 우선 11명으로 구성된 민관합동 추진위원회에 경기도의회 도의원과 사회 저명인사 등을 위촉해 확대할 예정이다.


도는 지난 2월 착수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기본계획 및 비전·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연구용역을 올 연말 완료할 계획이다.

기본계획 및 비전·발전전략에 일자리 창출, 교통접근성 개선, 중첩규제의 획기적 개선, 수도권과 지방간 상생발전 모델 구축 등의 발전전략을 담을 계획이다.


도는 2026년 7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출범을 목표로 설정하고 김민철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안’이 21대 국회 임기 내에 통과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범도민 공감대 확산을 위해 도는 이달 중으로 행정과 재정 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위원장 포함 15명 이내의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6개 권역별로 도민 참여형 공론조사와 찾아가는 도민 설명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도는 경기도의회, 중앙부처, 국회, 시·군 등 관계기관과의 정책협력회의, 정책건의 등을 통해 적극 소통하는 한편 경기 북부 시장·군수, 경기도의회 등과도 공조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밖에 도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추진과정에 많은 도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정책 홍보도 병행해 펼칠 예정이다.


오후석 행정2부지사는 “경기도가 추진하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경기북부의 대내외적 한계를 넘어 지속가능하면서 지역 특성에 맞는 독자적 발전 비전을 만들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권한과 실행력을 가진 광역자치단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도민 여러분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이 설치를 앞당기는 원동력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오명근 기자 (omk72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