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임금근로자 평균대출액 5202만원
20대 대출 15.4% 증가…연령대 中 최고
대‧중소기업 직장인 평균대출금 2배 차이
숙박·음식점업 대출 증가율 1위
2021년 직장인 평균 대출액이 전년 대비 7% 증가하면서 통계작성 이래 5000만원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저금리 등 영향으로 20대와 숙박·음식점업 등 대출 증가 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임금근로자 평균대출액은 5202만원으로 전년보다 7%(340만원) 증가했다. 2017년 관련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큰 평균대출액이다.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은 개인이 은행 또는 비은행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 잔액 합을 임금근로자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은 12월 기준 2018년 4175만원, 2019년 4408만원으로 5%대 증가율을 보이다가 2020년 10%대로 급증했다. 반면 2021년은 저금리 영향 등으로 인해 7%대 증감률을 보였다.
대출유형별로는 은행이 전년보다 5.4%(170만원), 비은행은 10.1%(170만원) 증가했다. 주택외담보대출(11.4%)이 가장 많이 늘었고, 기타대출(-0.3%)은 소폭 감소했다.
개인대출을 보유한 임금근로자 중위대출은 4974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5% 늘었다.
중위대출액은 임금근로자 특성별 개인대출 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 개인대출액을 의미한다.
임금근로자 연체율(대출잔액 기준)은 0.71%로 전년보다 0.09%p 낮았다.
차진숙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2021년도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금융지원이 많았다”며“정부는 가계부채관리방안을 통해 급증하는 가계부채를 막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강화해 연체율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 직장인 평균 증가세가 3년 연속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29세 이하 평균대출액은 169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25만원 늘어났다. 전년 대비 15.4%가 늘어난 수치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20대 다음으로는 30대 직장인이 전년보다 10.7%(693만원) 대출이 증가했다. 40대와 50대 평균대출액 증가율은 각각 7.2%(510만원), 4.3%(247만원)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금은 2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임금근로자 평균 대출은 8107만원, 중소기업은 4215만원으로 집계됐다. 연체율은 중소기업(0.68%), 대기업(0.21%), 비영리기업(0.19%) 순으로 높았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거주자 아파트 거주자가 636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오피스텔 및 기타(4958만원), 연립·다세대(4004만원), 단독주택(3045만원)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연립·다세대 주택 거주자 평균대출이 6.9%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산업별 임금근로자 평균대출액은 금융·보험업이 1억124만원으로 가장 높고, 정보통신업이 7403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숙박·음식업은 2102만원으로 가장 적었지만, 대출 증가율이 10.7%로 가장 높았다.
연체율은 건설업(0.99%), 숙박·음식(0.94%), 사업·임대(0.73%)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