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당과 정부에 부담 주고 싶지 않다"
尹 초청 오찬 최고위원 배제에 "괴로웠다"
윤리위, 징계 낮춰 총선 출마 배려할 듯
'자진사퇴' 선 그은 김재원에 관심 집중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윤석열 정부 출범 1년을 맞아 더 이상 당에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며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태 의원 스스로 '정치적 해법'을 내놓은 만큼, 이날 오후 예정된 당 중앙윤리위의 징계 '수위'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태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의 부족함으로 최근 여러 논란을 만들어 국민과 당원들, 당과 윤석열 정부에 큰 누를 끼쳤다"며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려고 한다. 그동안의 모든 논란은 전적으로 나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태 의원은 "이제부터 백의종군하며 계속 윤석열 정부와 우리 국민의힘의 성공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며 "내게 주어진 역사적 사명만을 생각하며 앞으로 뚜벅뚜벅 나아갈 것"이라고 했다. 또한 "당과 대통령실에 누가 된 점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거듭 고개를 숙였다.
자진사퇴 결단의 배경에는 대통령실 초청 오찬에 최고위원 전체가 제외된 게 막판 결정적인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장예찬 청년최고위원은 "대통령 취임 1주년 행사에 최고위원들이 배제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 "문제가 되는 분들이 있다면 그분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 일"이라며 유감을 표한 바 있다.
기자회견을 마치고 취재진과 만난 태 의원은 이와 관련해 "내 개인의 일탈 때문에 일부 최고위원들의 불만이 대단히 컸던 것을 보면서 굉장히 괴로웠다"며 "다시는 나 때문에 주변 분들에게 부담을 드려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태 의원이 자진사퇴 결단을 내리면서 윤리위가 총선 출마가 가능한 수준으로 징계 수위를 낮출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당초 정치권 안팎에서는 ‘당원권 정지 1년 이상’ 중징계 전망이 중론이었는데, 이는 사실상 내년 총선 출마 봉쇄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경우 ‘사고’로 인한 지도부 공석이 두 명이나 발생하는 부담이 있고, 더구나 징계 대상자들의 재심 혹은 소송에 나선다면 난맥상은 더욱 커질 우려가 있었다.
윤리위 회의를 앞두고 당 지도부가 전방위로 자진사퇴를 전방위 압박에 나선 것도 이와 관련이 깊다. 황정근 윤리위원장 역시 "정치적 해법이 등장하면 그에 따른 징계 수위는 여러분이 예상하는 바와 같을 것"이라며 자진사퇴시 양정 고려를 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한 바 있다.
정치권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김재원 최고위원의 거취로 모아지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5·18 헌법 전문 수록 반대" "전광훈 우파 천하통일" "4·3은 격 낮은 기념일" 등의 발언으로 징계 대상에 올랐는데, 사안의 중대성과 파장은 태 의원보다 크다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다만 현재까지 김 최고위원의 자진사퇴에 대한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 중앙윤리위는 이날 오후 6시 4차 전체회의를 열고 징계 수위를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8일 3차 회의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난 황정근 위원장은 "사실관계 확인 과정을 위해 이틀 정도 시간을 갖기로 했다"며 "4차 회의를 개최해 징계 수위를 결정하는 것으로 의결했다"고 공지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