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주요 신기술분야 신규 인력수급 전망 결과
고용부,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 개최
2027년까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분야 신규인력이 각각 1만2800명과 1만8800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31일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을 개최해 산업전문가, 기업 관계자 등과 함께 신기술분야 업계의 인력현황과 원활한 인력수급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에 앞서 고용부와 직업능력연구원은 AI 등 4개 주요 신기술분야에 대한 2027년까지의 인력수급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전망 결과는 과기부, 산업부 등이 실시한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전망모형을 활용해 인력수요를 도출하고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계획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해 향후 5년간(2023~2027년)의 수준별(초·중·고) 신규인력 수요․공급 및 수급차를 전망한 것이다.
4개 신기술분야의 2027년까지의 신규 인력수급 전망 결과 AI분야는 1만2800명 부족이 예상되는가운데 특히 연구개발(R&D) 등 고급인력 부족이 점쳐졌다.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 확대와 국제적으로 AI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으로 고급인력 해외유출 우려 등 고급수준 인력난 심화가 전망됐다.
클라우드분야는 1만8800명 부족이 예상됐는데 '운영'부터 '개발' 전반의 인력수요 증가가 원인으로 꼽혔다. 서버·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과 지속적인 시장 성장으로 인력 부족 심화, 특히 서버의 관리·보수 등을 위한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 모두 부족한 상황이다.
빅데이터분야는 1만9600명 부족이 예상된다. '융합데이터전문가' 수요 급증이 이유다. 디지털 혁신의 기초인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전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분야별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 데이터 인력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나노분야는 8400명 부족이 점쳐진다. 첨단산업 성장으로 '응용기술인력'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나노기술은 단독 상업화는 어려우나 디스플레이․에너지․환경․바이오헬스․소재 등 첨단분야의 성장으로 응용․복합 나노 기술인력의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다.
김성호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정부는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의 규모와 내용 등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TF'를 통해 관련부처와 함께 신기술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또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은 인력유출로 인한 인력난이 더욱 심각하므로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여건, 조직문화 등을 기업 스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