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3.4% 상승
농식품부, 8일 식품, 외식업계와 간담회
식품·외식업체, 우리도 ‘부담’
전문가, 과도한 시장개입 우려
외식업계가 추석을 앞두고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원재료 값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잇단 정부의 압박으로 가격 인상이 지연되고 있어서다. 손해를 감내하고 있지만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3%대에 재진입했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기름값이 오른 데다 폭염과 폭우로 농산물 가격까지 상승했다. 특히 농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5.4% 뛰면서 추석 연휴(9월 28일~10월 3일)를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4% 상승했다. 지난 6월(2.7%)과 7월(2.3%) 2%대로 내려앉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반등한 것이다. 4월(3.7%) 이후 4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정부는 명절을 앞두고 국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8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한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주재로 간담회를 열고 국내 주요 식품 업체 대표들과 만나 추석 물가 안정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식품 및 외식 업체의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듣고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농심, 동서식품, 동원F&B, 롯데웰푸드, 매일유업, 삼양식품, CJ제일제당, SPC, 오뚜기, 오리온, 풀무원, 해태제과 등 12개사 식품기업 CEO들이 참석할 전망이다. 교촌, 제너시스BBQ, bhc 등 다수의 외식 CEO급도 참석 리스트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당분간 가격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속성에는 물음표가 뒤따른다.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가격을 내리거나 버티고 있지만 기업 자체적으로 부담해야 할 요인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서다. 인건비 물류비에 더해 부담이 산더미다. 영업이익률도 5% 미만에 불과하다.
내달 ‘밀크플레이션’이 우려도 있다. 원유 가격 인상으로 아이스크림, 커피, 빵 등 관련 물가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업계 1위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오는 10월부터 흰우유 1L 제품의 출고가를 대형마트 기준 3% 인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에게 밀접하고 대부분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제품 위주로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며 “기업들이 얼마나 감내하고 지속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기업들의 어려운 점은 매번 간과되는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외식업은 이미 원자재, 인건비 상승이 가파른 상황인데, 정부가 이야기하는 세액 공제 등에 대한 실질적인 체감효과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며 “특히 외식업은 가맹점주들의 눈치를 봐야 해 어려움이 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도 점주들은 가격 인상을 더 해야 된다는 입장인데 여기서 더 이상 가격을 낮추거나 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시장 가격을 강압적으로 내리게 하는 것이 아닌 정부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선 제시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가격 조정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적절한 개입은 필요하다면서도, 과도한 개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 국민 물가 부담을 줄인다는 정부의 명분에는 공감하지만, 특정 품목에 대한 지속적인 가격 통제가 오히려 시장 왜곡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 같은 태도는 윤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내놓았던 ‘작은 정부’ 청사진과는 정반대의 행보라는 비판도 뒤따른다.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자유 경제’를 강조하며 각종 규제를 철폐하고 친기업적 성향을 보여 왔지만, 물가안정을 이유로 민간기업의 가격 인하 압박을 이어오고 있다.
강성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도 적극적인 개입이 좋지 않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원가가 떨어져도 가격을 내리지 않고 있고, 유가가 오르면서 물가가 다시 3%대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원가가 지속적으로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올리지 못하게 제한하면 장기적으론 기업들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