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전산망, 지난 17일 이후 4차례 먹통 사태
"해킹징후 없어…라우터포트 불량문제 발견"
정부 행정전산망 장애 원인이 해킹 문제가 아니라 네트워크 장비 불량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고기동 행안부 차관과 송상효 숭실대 교수 등 '지방행정전산서비스 개편 태스크포스(TF)' 공동 팀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원인 및 향후 대책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송 교수는 라우터 장비 불량 외 다른 이상 현상을 발견하지 못하고 검증 과정을 거치느라 발표가 오래 걸렸다고 부연했다.
정부 행정전산망은 지난 17일 '셧다운'된 후 일주일 사이에 네 차례 먹통 사태를 빚었다.
TF는 장애 원인에 대해 네트워크 영역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서 패킷(데이터의 전송단위)을 전송할 때 용량이 큰 패킷이 유실되는 현상이 관찰됐다. 특히 1500바이트 이상의 패킷은 약 90%가 유실됐다.
송 교수는 라우터 장비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모듈에 있는 포트 중 일부가 이상이 생겨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TF에 따르면 17일 첫 장애 후 정상 작동하지 않던 L4(네트워크 장비의 일종) 스위치를 고성능 장비로 교체했다. 하지만 교체 후에도 일부 기능에 지연 현상이 발견돼 광주센터와 대전센터를 연결하는 라우터를 상세 분석했으며 그 결과 포트 불량이 발견됐다.
다만 불량 외 다른 오류가 있을 경우도 고려해 서버에서 발생한 로그를 분석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구간에서 장비의 이상을 검증했다.
TF는 해킹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확인했으나 아직 해킹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고 차관은 이번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종합대책에 대해 발표했다.
행안부는 이번과 비슷한 포트 불량 가능성이 있는 오래된 장비들을 전수 점검하고 장애 발생 시 처리 매뉴얼을 보완할 계획이다.
또 핵심 디지털정부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에서도 행정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행정조치 방안을 마련한다. 디지털정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범정부 디지털정부 위기대응체계를 확립하고 공공정보화사업 추진방식을 개선하는 등 중장기적인 제도 개선방안도 준비하기로 했다.
여기에 행안부 네트워크망을 도맡아 관리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운영방식 또한 전면 재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