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사기 예방 및 임차인 권리 보호를 위해 전세 대항력 발생 시점 변경
전국 325만 전세가구, 더욱 안심하고 임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이하 통합위)가 주택임대차 대항력의 효력 발생 시기를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 '익일 0시'에서 '당일 0시'로 변경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따라 법무부와 국토부는 통합위 제안을 적극 검토·추진키로 했다.
통합위의 '민생사기 근절 특별위원회'는 현행 주택임대차의 대항력이 '주택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날'(이하 인도 당일)의 다음날(익일 0시)부터 효력이 발생함에 따라, 인도 당일에 대출이나 주택 매매 등의 사기 행위로부터 임차인이 보호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감안해 제도개선을 제안했다.
이번 통합위 제안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주택임대차의 대항력 발생 시점을 원칙상 현행(주택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다음날 0시)과 동일하게 유지하되, 사전신고와실제 주택 인도와 주민등록 두 가지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대항력 발생 시점을 변경하는 방안이다.
제도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법 개정(주택임대차보호법) 및 시스템 정비가 선행돼야 하며, 제도 시행 후 임차인은 사전신고 등을 통해 대항력 발생 시점을 인도 당일 0시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므로 325만 주택 임차인의 권리 보호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사전신고제도 이용 여부는 임차인 자율 결정사항으로, 익일 0시에 효력이 발생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전신고제도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임차인의 사전신고 내용은 임대인 및 제3자(임대인과 관련된 금융기관·일반 채권자·거래예정자 등)에게 열람을 허용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제3자는 동 내용을 고려해 주택 거래 및 대출 실행 등에 참여하게 되므로 이와 관련한 불이익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위 제안은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정·시행된 1981년 3월 이후 최초로 주택임대차 대항력 효력 발생 시점을 변경하는 것임에 따라, 주택임대차보호법 소관 부처인 법무부는 국민 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입장을 고려해 국토부와 함께 촘촘하게 제도를 설계,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김한길 위원장은 "이번 제안이 조속히 실현돼 수백만 우리 국민이 안심하고 주택을 임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