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中日 저가공세' 잡겠다는 포스코, '중견·중소 철강사' 잡을라


입력 2024.02.02 06:00 수정 2024.02.02 13:23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포스코, 반덤핑 관세 부과 요청 검토…"각국에서 이미 이뤄져"

'고로 없는' 중견·중소 철강사, '독점기업 행태'라며 반발

포스코 "수입산 막지 않아…불공정 막기 위해 여러 방안 검토"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 빌딩 전경. ⓒ데일리안

국내 철강업계 ‘맏형’ 포스코가 수입제품의 저가 물량 공세를 잡겠다며 반덤핑 관세 대응 등 다양한 방안 검토에 나서면서 중견‧중소 철강사들에 미칠 파장이 우려되고 있다.


값싼 중국·일본산 제품 유입으로 인한 국내 철강산업의 피해를 막아야 한다는 게 포스코의 입장이지만, 중견‧중소 철강사들은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열연을 공급하는 국내 철강 대기업들의 독과점이 심해져 열연가가 치솟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국내 철강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단 이유로 중국, 일본 등 수입산 철강재에 대응하기 위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두고 논의 중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31일 2023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글로벌, 인도, 브라질 등 신흥 국가에서도 각국의 철강 산업을 지키기 위해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수입 시장을 막으려고 노력 중이지만, 한국은 타국에 비해 수입 시장을 막는 장벽이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해 중국과 일본 철강재의 수입 물량은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각각 29.2%, 3.1% 증가했다. 전체 수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2%에 달했다.


하지만 기초 소재에 대한 반덤핑 제재가 이뤄질 경우 공급자 우위 시장 구조가 구축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철강재 중 열연에 적용될 경우 '자국산업 보호'라는 반덤핑 관세 제도의 취지에서 벗어나 오히려 산업 구조를 뒤흔들 수 있단 것이다.


국내 산업 구조의 특성상 중견‧중소 철강사들의 이런 주장에는 충분한 근거가 있어 보인다. 철강 산업은 상공정(고로)을 보유한 고로사가 열연 등 기초 소재를 생산하고, 그 외 업체가 재압연·가공 등을 통해 제품을 만들어 수요 산업(건설·조선·가전 등)에 판매하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포항제철소 2열연공장 재가동 모습. ⓒ포스코

열연은 ‘독점 품목’이자 ‘기초 소재’로, 이를 국내에서 생산하는 곳은 고로를 보유한 포스코, 현대제철 등 두 개사 뿐이다. 양사는 연간 약 500만t 가량 판매하며, 내수시장에는 300만t 가량 공급한다.


이에 따라 소재를 사용하는 기업들은 독점 기업의 공급에 현재도 의존하는 중이다. 대부분이 동국제강, 세아제강 등 중견·중소 철강업체들이다. 동국·세아·KG가 열연을 가공해 제품을 생산하는 물량만 해도 연 600만t을 상회해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공급 물량만으로는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열연 반덤핑 관세의 실현은 독점 기업의 이익 증가를 위해 소재 사용 기업들에게 피해를 전가함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제도를 남용해 편법으로 이익을 취하려는 목적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중견·중소 철강사들을 중심으로 수입량은 사실 평범한 수준으로, 오히려 포스코의 판매량이 늘었단 점도 지적된다.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수입 물량은 약 82만t 늘어 422만t을 기록했지만, 이는 2016년(677만t), 2017년(654만t), 2018년(445만t), 2019년(455만t)과 비교하면 평이한 수준이란 주장이다. 반면 지난해 포스코의 열연 내수 판매량은 129만t 늘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포스코는 지난 2022년 힌남노 포항제철소 침수 이후 적자 만회를 위해 열연 가격을 연속 인상한 바 있다”며 “평소 약 3~5만원가량 높은 가격에 거래됐음에도 구매자 입장에서는 단납기 수급 가능한 포스코 열연이 매력적이었다. 이로 인해 해당 기간 가격 격차는 150달러까지 벌어졌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재 독점 기업의 피해를 시장에 전가하기 위해 억지로 가격을 끌어올려 수입산 대비 가격경쟁력을 스스로 상실해놓고, 이제 와서 열연 반덤핑 제소를 추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포스코는 '수입을 절대적으로 막겠다'는 것이 아니란 점을 분명히 했다. 한국 철강업계가 중국 등 신흥국 수입재 유입과 반덤핑 등 불공정 거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인 만큼, 국내 철강생태계를 직접 강건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란 입장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수입 자체에 대한 문제가 아닌 반덤핑 형태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것”이라며 “다른 나라들도 다양한 무역보호주치를 시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