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환경부, 이차전지 염폐수 처리 위한 ‘산업폐수 관리 정책 토론회’ 개최


입력 2024.02.27 12:02 수정 2024.02.27 12:02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27일엔 업계 간담회도

환경부 전경. ⓒ환경부

환경부는 26일 비앤디파트너스 서울역점에서 산업계, 학계 등과 소통을 위한 ‘산업폐수 관리정책 선진화 토톤회(포럼)’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차전지 기업 고농도 염폐수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토론회는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함께 고농도 염폐수의 적절한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최근 이차전지 산업 성장으로 전구체 생산,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 등에서 고농도 염폐수 배출 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나, 폐수 특성상 생물학적 처리 등 통상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토론회에서는 이차전지 폐수 특성과 처리기술 현황을 공유하고, ‘염 증명 제도’ 개선 방안을 포함해 이차전지 기업 폐수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의견을 나눴다. 참고로 염 증명 제도는 염폐수 성분이 주로 바닷물로 이뤄져 생태 독성이 없음을 증명하는 경우 해양 방류를 허용해 주는 제도다.


전문가들은 유가금속 회수와 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 등 지금보다 경제·환경적인 염폐수 처리기술이 이차전지 업계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염 방류수가 해양생태계뿐만 아니라 수산 등 해양활동에 미칠 영향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환경부는 27일에도 이차전지 폐수처리를 논의하기 위한 업계 간담회를 오송역 인근 회의실에서 개최한다.


환경부는 고염폐수 처리기술 연구 개발(R&D) 지원과 염 증명 지침서(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하기로 했다. 폐수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이차전지 기업 현장을 찾아가 해법을 제시하는 ‘민관합동 기술지원반’도 운영한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산업계·전문가·관계 부처와 소통하면서 이차전지 폐수로 인한 환경 영향은 최소화하고, 기업 현장 애로 사항을 해소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