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다인종·다문화 국가' 진입 눈앞에"…국민통합위, '이주민 근로자 상생' 특위 출범


입력 2024.03.26 12:00 수정 2024.03.26 12:00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김한길 "이주민 250만명

충청남도 인구보다 많아

포용적 이민정책 세밀하게 준비"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26일 해외 인재 유치·육성과 맞춤형 인력수급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기 위한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국민통합위원회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26일 해외 인재 유치·육성과 맞춤형 인력수급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기 위한 '이주민 근로자와 상생' 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출범식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됐다.


김한길 통합위원장은 "반세기 전, 독일에 광부와 간호사를 파견 보내고, 중동으로 노동력을 파견하던 우리나라가 외국인력을 도입한 지 벌써 30년이 지났다"며 "지금은 이주민이 250만명을 넘어 올해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정하고 있는 '다인종·다문화 국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50만명이라는 숫자는 우리나라 충청남도의 인구보다 더 많은 숫자"라며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갈등과 진통을 겪지 않으면서, 국가 경쟁력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포용적이고도 품격 있는 이민정책을 세밀하게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특위 위원장에는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가 이름을 올렸다. 이주민 근로자에 대한 전문성 등을 갖춘 학계·연구계·현장 분야의 전문가 14인도 함께 활동한다.


특히 해당 특위 출범 전, 준비TF 및 전문가 회의를 거쳐 △맞춤형 인력수급 체계 구축 △해외 인재 유치 및 육성 △사업자·근로자 상호적응 지원 △이주민 근로자 상생 환경 조성 등의 '4가지 핵심 방향성'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통합위는 우선 "맞춤형 인력수급 체계 구축을 위해 적시·적소에 필요인력 공급과 사업주·근로자 매칭시스템 개선, 이주민 근로자 수요·고용 통계 인프라 구축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해외 인재 유치 및 육성을 위한 지역 수요 기반 유학생 정착 확대와 전문·숙련 인력 산업현장 공급 확대, 이주민 근로자 직업역량 강화 방안 등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사업자·근로자 상호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근로환경 개선 및 선제적 갈등관리 강화, 불법 고용 및 취업 근절 문화조성 방안 등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며 "효율적 지원·관리 체계 구축, 가족 동반 체류자 정주환경 개선, 이주민 근로자에 대한 인식개선 등 이주민 근로자 상생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대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