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야권, 盧 추도식 집결…'李 일극체제' 반발 감지, '친문·비명' 결집 가시화되나 [정국 기상대]


입력 2024.05.24 00:00 수정 2024.05.24 00:00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

이재명·문재인·김경수 등 明·文 한 자리에

金, 친문계 만날까…복권시 비명 결집론에

李 세력 공고화에 '역할론 불투명' 반론도

23일 오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에서 권양숙 여사, 문재인 전 대통령, 김정숙 여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참석자들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인사들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을 맞아 한 자리에 모였다. 이 자리엔 이재명 대표 외 '문재인의 복심'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민주당 친문(친문재인) 인사들도 참석했다. 민주당 전반기 국회의장 선거에서 '이재명 일극체제'에 대한 견제 심리가 발동한 만큼, 정치권에선 추도식을 계기로 비명(비이재명)계 세력화 가능성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노 전 대통령 추도식을 계기로 친문·비명계의 세력화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이 대표가 총선 압승을 이끌면서 비명계가 움츠러들고 당 전체가 친명으로 뒤바뀌는 듯 했지만, '명심'(이재명 대표의 의중)을 등에 업은 추미애 당선인이 예상 외 패배하면서 당내 견제 세력의 존재가 확인됐다.


이에 노 전 대통령 추도식이 '이재명 일극체제'에 반감을 가진 '샤이 비명'이 결집할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들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은 데다, 문재인 전 대통령을 비롯해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 '친문계 적자'로 불리는 김 전 지사가 추도식 참석을 위해 영국 유학길에서 일시 귀국하면서다.


김 전 지사는 추도식을 하루 앞둔 22일 경남 양산 평산마을 사저를 찾아 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두 사람은 서로의 건강과 안부를 물으며 2시간가량 담소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지사는 다음 달 초 다시 출국해 영국과 독일에서 유학을 이어간 뒤 연말 쯤 완전히 귀국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진다.


야권에선 김 전 지사가 친문·비명 세력을 결집할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아직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배워야 한다"며 자신의 역할론에 선을 그은 김 전 지사지만, 이 대표 체제에서 힘을 잃은 친문·비명계를 규합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그는 문 전 대통령을 예방한 뒤 귀국 시점을 묻자 "너무 오래 나가 있으면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사실상 정계 복귀를 암시한 것으로 해석됐다.


계파 색채가 옅은 민주당 의원은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박찬대 원내대표까진 '친명 투톱 체제'로 대정부 투쟁 확보라는 명분을 삼을 순 있다"면서도 "중립성이 요구되는 국회의장까지 당대표의 의중이 향한 인사로 채우는 데 대해선 상식이 있는 의원이라면 반감이 생겼을 것이다. 최근 김성환 의원의 '나는 우원식을 뽑았다'는 커밍아웃이 바로 그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뉴시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선 노 전 대통령의 추도식을 계기로 김 전 지사가 당내 친문·비명 인사들과 접촉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친문계 민주당 관계자는 "김 전 지사와 친문 인사 간 만남에서 지난 총선 공천 파동 문제, 김 전 지사의 복권과 향후 거취 등에 대한 대화 정도는 오고 가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박용진·박광온·전해철·윤영찬 의원 등 친문계로 거론된 인사 상당수가 컷오프(공천배제) 되거나 현역 의원 하위 평가 10~20% 통보를 받았다.


김 전 지사 복권은 윤 대통령이 쥐고 있다. 그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지난 2021년 7월 징역 2년을 선고 받았다. 이후 복권 없이 사면 되면서 2027년 12월 28일까지 공직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다만 복권 될 경우, 이르면 올해 안에 정계에 복귀해 비명계의 구심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정치권 일각의 해석이다.


친문계로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고민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MBC라디오에서 "대통령의 특별 권한이기 때문에 짐작하기 어렵지만 여전히 사면·복권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김 전 지사가) 역할을 해야 될 때가 되면 해야 된다고 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복권 되더라도 친명 체제가 공고화 된 현재로선 김 전 지사의 역할 공간이 불투명할 거란 전망도 있다. 수도권 민주당 재선 의원은 "1년 가까이 내홍이 일다가 총선에 압승한 분위기에서 누가 내부총질을 하겠느냐"라며 "김 전 지사가 복권하자마자 자기 세력을 만들 정도로 어리석지 않다"고 일축했다.


김 전 지사는 추도식 이후 기자들과 별도의 질의응답 없이 자리를 떠났다. 조국 대표도 김 전 지사의 역할론을 묻자 "왜 내게 물어보시느냐"며 "(김 전 지사를 복권해줄 사람은) 용산 (윤 대통령) 아니냐. 용산에 물어보시라"고 일축했다.


한편 추도식엔 노 전 대통령 부인인 권양숙 여사와 △문재인 전 대통령 △김정숙 여사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이재명 민주당 대표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등을 비롯해 김 전 경남지사도 참석했다.


아울러 △김준우 정의당 대표 △이석현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 △윤희숙 진보당 상임대표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이 자리했다.

'정국 기상대'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김찬주 기자 (chan72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