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한은 “2차 베이비부머 은퇴 도래…경제 성장률 0.38%P 깎아”


입력 2024.07.01 12:00 수정 2024.07.01 12:07        이세미 기자 (lsmm12@dailian.co.kr)

노인 이미지. ⓒ픽사베이

올해부터 우리나라 단일 세대 중 규모가 가장 큰 2차 베이비부머(1964년~1974년생) 세대의 은퇴 시기가 본격화된 가운데 이들의 노동시장 이탈로 인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0.38%포인트 내려갈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1일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연령 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 2차 베이비부머는 이전 세대에 비해 근로의지가 강하고, 교육수준이 높은 편”이라며 “이들은 AI가 산업전반에 침투하는 상황에서 IT활용도가 높고, 소득·자산여건이 양호하며, 사회·문화 활동에 대한 수요도 크다”고 분석했다.


한은이 이들의 은퇴에 따른 우리 경제 성장률 하락 정도를 추정한 결과, 60대 고용률이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하면 향후 10년간 경제성장률을 연평균 0.38%p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60대 고용률은 남성 68.8%, 여성 48.3%다.


2차 베이비부머는 1964~1974년생, 954만명으로 전체인구대비 비중이 18.6%이며, 1차 베이비부머는 1955~63년생 705만명으로 비중은 13.7%다. 1차 베이비부머의 은퇴연령 진입은 지난해 이미 완료됐으며, 이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가 경제성장률을 제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은 다만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연령 진입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생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정책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된다면 경제성장률 하락폭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2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은퇴 후 계속근로 의향이 매우 강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5월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55~79세 대상 설문조사에서 계속근로를 희망하는 응답자의 비중이 2012년 59.2%에서 2023년 68.5%로 상승했으며, 평균 근로 희망연령 역시 71.7세에서 73.0세로 상승했다.


또 이들은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성장해 교육 수준, IT활용 능력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적자본을 축적했다.


다만 은퇴 전 실질 소득 및 순자산 보유규모는 1차 베이비부머의 은퇴 전 수준을 큰 폭으로 상회하고 있어 이들의 은퇴는 그간 우리나라 고령층의 소비성향 하락세를 감안할 때 향후 소비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2차 베이비부머는 순자산 규모가 상대적으로 커서 1차에 비해 평균소비성향이 1.3%p 정도 높을 가능성이 있다.


2차 베이비부모 세대의 은퇴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한은의 분석 결과 현 60대 고용률이 유지되는 시나리오에서는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로 2024~2034년 기간중 연간 경제성장률이 0.38%포인트(p)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동기간 중 1차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전혀 없었을 경우와 비교한 결과다.


그러나 이들이 은퇴 후에 계속 근로하려는 의지가 강한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최근과 같은 고용률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진다면 경제성장률 하락폭을 0.14%p 줄일 수 있다.


한편 일본 정부의 고령층 고용촉진 노력으로 일본에서 60대 고용률이 크게 상승했는데, 이러한 강력한 제도변화 후 고용률 추세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난다고 가정할 경우, 경제성장률 하락폭이 0.22%p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한은은 2차 베이비부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활용해 내수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여지도 크다고 진단했다. 결국 계속근로 의지에 정책적 지원과 강력한 제도변화가 뒷받침될 경우 향후 경제성장률이 상당폭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고 봤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부터 시작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규모 법정은퇴연령 진입으로 성장잠재력이 크게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으나, 2차 베이비부머의 양호한 경제‧사회‧문화적 특성에 효과적인 정책이 뒷받침될 경우 부정적 영향은 상당폭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특히 생애에 걸쳐 축적한 인적자본을 장기간 활용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함에 따라 고령층 고용연장 제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본격화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2차 베이비부머의 계속근로에 따른 소득 불확실성 완화에 더해 자산 유동화, 공적·사적 연금제도 개선 등 추가적인 노력이 가세한다면 이들의 소비도 보다 활성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세미 기자 (lsmm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