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형 SOC 줄줄이 차질…가덕도신공항, 입찰조건 풀어도 ‘난항’


입력 2024.07.25 06:31 수정 2024.07.25 06:31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공기 연장 및 설계기간 조정, 31일 신규입찰 공고 예정

공사비 급등으로 수익성 악화…기존 사업도 ‘삐걱’

“입찰조건 완화했지만, 사업 리스크 여전…건설사 부담 커”

공사비만 13조5000억원으로 국내 최대 규모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으로 불리는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초반부터 난관에 부딪힌 모습이다.가덕도신공항 조감도.ⓒ국토부

공사비만 13조5000억원으로 국내 최대 규모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으로 불리는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초반부터 난관에 부딪힌 모습이다.


두 차례 부지조성공사 입찰이 유찰되면서 정부는 입찰조건을 일부 완화해 시공사 찾기에 나설 방침이다. 다만 건설 원자재 가격이 치솟은 데다 워낙 몸집이 큰 사업이라 그에 따른 리스크도 상당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인다.


25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오는 31일 부산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신규 입찰을 공고하고 다음 달 19일까지 사전심사신청서를 받을 계획이다.


앞서 지난달 5일 진행된 1차 입찰에는 건설사가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고, 이후 7일께 진행된 2차 입찰에는 현대건설 컨소시엄 한 곳만 관심을 보이는 데 그쳤다.


국토부는 업계 목소리를 반영해 이달 19일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입찰조건을 완화했다. 공사기간은 기존 착공 후 6년에서 7년으로 1년 더 연장했고, 설계기간은 종전 10개월에서 12개월로 늘려 기본설계 6개월, 실시설계 6개월로 잡았다. 또 상위 10대 건설사 공동수급(컨소시엄) 제한을 2개사 이내에서 3개사 이내로 완화했다.


이에 따라 전체 공사 완공 시점은 2030년에서 2031년 말로 미뤄졌다. 다만 국토부는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등 동쪽에 위치한 필수시설을 먼저 개항하는 것으로 2029년 조기개항 목표를 달성하겠단 복안이다.


세부 입찰조건을 완화해 신규 입찰에 나서더라도 경쟁입찰 구도가 형성돼 시공사를 선정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운 좋게 시공사를 찾더라도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지도 미지수다.


공기는 1년 더 연장됐지만, 공사 난도가 높은 데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원자잿값 변동, 설계 변경 등 조정이 있을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다. 공공공사 특성상 공사비 조정이 쉽지 않아 자칫 공사비 급등으로 인한 손실을 건설사가 떠안아야 하는 부담도 작용한다.


최근 몇 년간 공사비가 치솟으면서 건설사들의 대형 SOC 사업 기피 현상은 두드러지는 추세다. 앞서 2020년 서울시 ‘위례신사선’ 민간투자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GS건설 컨소시엄은 지난달 사업을 포기했다. 부동산 경기 악화와 자잿값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해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장마철 도심 침수 예방을 위해 추진된 서울 ‘대심도 빗물 배수터널 사업’도 시공사를 찾지 못해 계획보다 1년가량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시는 총사업비로 1조2052억원을 책정했으나, 공사를 맡겠단 건설사가 나타나지 않자, 최근 1조3689억원으로 공사비를 증액 후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규모가 큰 SOC 사업은 보통 예산을 책정하고 발주하는 데 2년 정도 걸린다. 문제는 그 사이 공사비가 얼마나 오를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이라며 “정부가 물가를 반영해 적정공사비를 책정해 주겠다고 하지만, 증액 규모가 업체들이 생각하는 금액과 차이가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재개발도 경쟁입찰 구도가 형성되지 않아 수의계약을 진행하는 사업장이 대부분이다. 불필요한 비용 출혈 없이 수주하더라도 건설사들 표정이 마냥 밝지 않다”며 “이미 가덕도신공항에 관심을 두고 참여 의사를 밝힌 업체는 재차 응찰하겠지만, 이제 와 컨소시엄을 꾸리고 뒤늦게 준비해 입찰에 참여하기는 부담도 크고 기간도 촉박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가 좋았을 때는 민간이든 공공이든 어느 정도 손해를 보더라도 사업의 상징성을 보고, 국책사업인 만큼 어느 정도 책임감을 갖고 참여를 검토했다면, 지금은 사업을 하지 않는 게 더 나은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