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 공동 개최
국내 완성차 업계를 대표하는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수입차 업계를 대표하는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최근 급발진 의심 사고에 따른 소비자들의 오해를 바로잡고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KAMA와 KAIDA는 12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자동차 출입기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를 공동 개최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의도치 않은 급가속 현상이 인명사고로 이어져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이에 따라 국민들의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설명회가 제동장치의 작동 원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사고기록장치와 교통사고 조사절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 개선 활동이 돼 향후 급발진 의심 사고 예방에 더욱 힘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이어 “자동차업계는 국민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더욱 안전하게 탈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운전자 실수 방지 목적의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비상자동제동장치 등 신기술을 개발하고 신속하게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4년 11월 국제기준 제정을 목표로 논의 중인 페달오조작 방지장치는 미리 선 적용해 소형전기차(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에 장착 출시했고, 비상자동제동장치의 경우 현재 승용·승합·화물 등 모든 자동차에 설치가 의무화돼 있으며, 감지 대상을 차량뿐 아니라 보행자, 자전거 등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으로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최영석 원주한라대학교 교수는 ‘사고기록장치(EDR)’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EDR은 교통사고를 분석하는 주요 도구로서, 해외 및 국내에서 사고기록장치에 대한 신뢰성은 수만 건 이상의 사고 분석의 결과를 통해 검증됐다”면서 “최근, EDR 데이터 분석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하는 데이터 항목을 추가하는 기준 개정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급발진 의심사고에 대한 원인조사가 주로 EDR 분석을 통해 이뤄지는데,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불식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최 교수는 또 “최신 차량은 각종 제어 장치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운전자 오조작 가능성이 높아져, 이를 방지하기 위한 오조작 방지 장치 기술 개발 혹은 운전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교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자동차의 제동력은 차량 중량 및 속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보다 더 크게 설계돼 있으며,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기능을 통해 제동 신호와 가속 신호를 동시에 보낼 때, 제동 신호를 우선하게 돼 있어,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자동차는 무조건 속도가 감소 및 정차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는 ‘급발진 의심 사고 분석절차’ 주제발표를 통해 급발진 의심 사고 시 나타나는 흔적 및 육안검사 등 분석 기법을 소개했다.
박 교수는 “급발진 의심 현상은 가속케이블 고착, 플로어매트 간섭, 엔진오일의 흡기 유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면서 “급발진 의심 현상은 운전 경력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고, 대부분은 ‘휴먼 에러(사람의 실수)’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조민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경찰청의 공학적 교통사고 조사 및 사례’ 발표를 통해 경찰의 체계적인 사고 조사 분석 체제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경찰청은 2017년부터 ‘교통사고 공학분석’이라는 업무 프로세스를 교통사고 조사·분석에 도입했고, 경찰에 접수된 사건을 중심으로 EDR 분석과 차량 충돌 시뮬레이션 분석, 영상분석, 거짓말 탐지기 분석을 시행해교통사고의 실체적 원인을 밝혀내고 있다”고 말했다.
조 연구관은 이어 “모든 교통사고는 경찰로 접수되고, 해당 사건 중 급발진 등 사회적 이슈가 있거나 대형 참사로 이어진 사고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도로교통공단으로 이관돼 더욱 정밀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