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초고령사회 진입 '코앞'…보험사 요양산업 '속도'


입력 2024.09.27 06:00 수정 2024.09.27 06:00        황현욱 기자 (wook@dailian.co.kr)

2025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 20% 돌파

생보사 실버타운·요양시설 신사업 낙점

KB·신한 선두권…삼성·농협 등 '노크'

노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보험사들이 요양사업에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민 5명 중 1명 이상이 65세를 넘어가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특히 위기를 맞은 생명보험사들이 실버타운과 요양시설 등을 새 먹거리로 낙점하는 모습이다. 다만 토지와 건물을 모두 갖고 있어야 하는 규제가 장벽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7월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1000만62명을 기록하며 10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전체 주민등록인구 5126만9012명의 19.5%에 해당된다.


이같은 추세라면 이르면 내년 한국은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7년 만의 일이다.


고령자가 늘면서 고령친화 주거공간과 일상생활지원 및 요양 등 돌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보험연구원이 올해 자산 4억원 이상 장기요양등급이 없는 고령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건강한 중산층 고령자 72%는 '현 거주지 근처에 고령자돌봄주택이 있다면 이용해보고 싶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복지주택은 전국 40개소, 9006세대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지역의 노인복지주택의 경우 월 이용료 300만원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시설은 6259개소로 많지만, 지역별 수급이 불균형하고 장기요양 1·2등급자만 이용 가능하다.


요양등급이 없거나 낮고 일상생활 지원이 필요한 중산층 고령자 대상 주거시설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보험사들도 요양산업을 새 먹거리로 낙점하고 요양산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현행 법상 토지와 건물을 모두 소유해야한다는 단점에 막대한 초기 투자여력이 있는 금융지주계 보험사나 대형 보험사들만 적극적이다.


대표적인 보험사로는 KB라이프생명과 신한라이프생명이다.


KB라이프는 요양사업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를 설립하고 서울 송파 '위례빌리지'와 서울 서초 '서초빌리지' 등 노인요양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해에는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164세대 규모의 실버타운인 '평창카운티'를 개소했다. 내년에는 서울 은평구과 강동구, 경기 수원 광교 3곳에 요양시설을 추가 개소할 예정이다.


신한라이프도 지난 1월 요양사업 자회사인 신한라이프케어를 출범시키고, 내년 경기 하남 미사에 60~70명 규모의 노인요양시설을 열 예정이다. 또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서울 은평구에 있는 시니어 주거복합시설 건립부지도 매입했다. 신한라이프케어는 총 4곳의 요양시설과 2곳의 실버타운을 설립할 계획이다.


하나생명도 하나금융그룹의 지원 아래 요양사업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하나금융은 지난 2분기 중 요양센터 건립을 위해 내부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부지 물색에 나섰다.


삼성생명과 NH농협생명도 같은 상황이다. 삼성생명은 기획실 산하 요양산업 TF를 운영하고, 신규 요양시설 설립을 비롯해 시니어 관련 서비스 출시 등을 검토하고 있다. 농협생명도 요양산업 진출을 위해 경영기획부 산하에 신사업추진단을 신설했다.


송윤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보험사들이 요양사업에 진출하려면 토지·건물 소유권 확보로 인해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섣불리 진입할 수 없다"라면서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인 만큼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수가가 정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변화에 따라 수가가 인하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 수익 다변화가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어 "요양사업은 무형서비스로, 평판이 중요한데 안 좋은 사례가 발생될 경우 보험사들은 이미지 타격이 불가피한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진출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황현욱 기자 (woo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