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부위원장 주재 '금융권 AI협의회'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 방안 발표
금융당국이 금융회사 내부망에 오픈소스 인공지능(AI) 설치 활용을 지원하는 AI 플랫폼을 구축한다. 챗 GPT 등 상용 AI 활용을 허용하는 '망분리 개선 로드맵'에 이어 이번 지원으로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위는 김소영 부위원장이 전날 금융권 AI 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은 AI 인프라와 데이터 부족,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명확한 거버넌스 부재 등 애로사항을 제기해 왔다"며 "이러한 의견을 종합해 금융권 AI 활용 인프라, 금융권 특화 데이터 지원,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등 금융회사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 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금융위는 금융회사들이 서비스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금융권 AI 이원(Two-track))활용 체계를 마련한다.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은 망분리, 자체 보안규정 등으로 인해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오픈소스 AI 모델,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아 내부망에 설치하는 데 제약이 있다. 또한 오픈소스 AI 모델은 누구나 수정 및 재배포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수많은 변형 모델이 난립해 금융회사가 AI 모델의 성능 및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은 초기 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 개발에 착수하기 전에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미리 테스트(PoC)하는 절차가 필수적임에도, 테스트 환경과 자원이 부족하다는 애로사항도 제기됐다.
이에 금융권 오픈소스 AI 서비스 개발 및 활용을 통합 지원하는 금융권 AI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플랫폼에서는 금융분야에 적합한 성능과 안전성을 지닌 오픈소스 AI 모델, 데이터 등을 전문가 그룹이 선별하여 제공한다.
금융회사들이 다양한 오픈소스 AI 모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조합을 탐색하고 혁신적인 AI 서비스 아이디어를 실험해 볼 수 있는 PoC 환경과, AI 모델, 데이터 등을 금융사 내부망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도 구축할 예정이다.
금융분야 AI 학습 등을 위한 금융권 특화 데이터도 구축한다. Llama3 등 주요 오픈소스 AI 모델들은 주로 영미권 언어와 일반적인 데이터를 학습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고 금융분야에 대해서는 전문성이 결여된 답변을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금융위는 업권별 협회, 금융연수원, 보험연수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생성형 AI 모델을 학습 및 검증하는데 필요한 ‘금융권 특화 한글 말뭉치’를 구축하고 금융권 AI 플랫폼을 통해 제공한다.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도 추진한다. 금융위는 그간 관련 가이드라인, 안내서 등을 제시해왔으나, 생성형 AI 등 급격한 기술 발전과 금융권 내부통제 강화 등 제도 변화에 따라 개정이 필요해졌다. 특히 많은 금융회사들이 AI 활용에 대한 명확한 거버넌스를 요청하고 있다.
금융위는 이러한 의견들을 반영해 금융권 AI 개발·활용의 주요 원칙을 마련했다. 구체적인 내용들은 향후 유관기관, 업계 전문가 등과 논의를 거쳐 안내서로 제시할 계획이다.
안내서에는 금융 AI 7대 원칙의 적용 기준, 생성형 AI 관련 윤리 등을 반영한 자세한 설명과 사례를 담을 예정이다. 금융위는 이번 개정으로 금융회사들이 실제 업무에 AI를 활용할 때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위는 금융권 AI 플랫폼은 내년 상반기 구축을 목표로 추진한다. 금융권 특화 데이터 구축은 금융 법규 등 공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년 1분기에 지원을 시작해 업권별 보도자료, 연수자료 등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더불어 금융분야 AI의 저변 확대를 위해 금융소비자, 금융 취약계층 등에 대한 AI 리터러시 교육 지원 방안도 금융연수원, 보험연수원, 업권별 협회 등과 지속 소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