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환율제서 환율 오르내려 투자 위험 존재해
"환헤지로 수익률 확정…한은과는 윈-윈 관계"
한국은행은 7일 외환스와프를 통해 국민연금공단의 전략적 환 헤지는 가장 현실적인 수익률 극대화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략적 환 헤지가 최대로 실행될 경우 그 규모는 482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국민연금의 환 헤지가 원화 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수익률이 안좋을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한 입장을 낸 것이다.
백봉현 한은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장은 이날 오후 한은에서 열린 ‘우리나라 해외투자와 환율’ 금요강좌에서 “규모가 크고 장기 투자를 하는 국민연금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손익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환 리스크 관리가 꼭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민연금의 환 헤지는 자체적 기준보다 환율이 오르면 보유한 해외 자산의 일부를 선물환으로 매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러를 팔아 시장에 달러 공급을 늘리면 국내 외환시장 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백 팀장은 "환율은 변화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는 환 위험을 적극적으로 헤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최근엔 해외 주가와 환율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환 헤지를 하지 않을 경우 손익 변동이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연금이 전략적 환헤지 비율을 최대 10%까지 한시적으로 상향해 운용가능한데, 그 규모가 482억 달러 가량”이라며 “외환 파생상품 시장에서 환 헤지를 하는 순간 시장 수급과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연금이 원하는 대로 환 헤지를 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연금이 시장에서 환 헤지를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시장 불안 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환스와프 계약을 체결한 것”이라며 “만약 외환보유액이 4000억달러를 밑돈다고 해도, 당국은 충분한 시장 대응 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외환스와프 계약 기간을 올해 말까지 1년 연장하고, 한도를 기존 500억달러에서 650억달러로 증액했다. 이를 통해 국민연금이 실제로 환헤지 확대에 나서더라도 충분한 외환을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국민연금이 환 헤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한은도 외환시장 안정을 도모하는 양 기관 모두에 윈윈 전략”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