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의료 R&D 분야 선정·평가체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R&D 평가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미국, 영국 등 R&D 선진국은 전문가 기반의 심층 평가, 질적 평가를 위한 R4RI 이력서 도입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문성 중심으로 평가 체계를 개선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진흥원도 과제평가의 전문성과 책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평가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와 평가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평가 개선방안 수립을 위해 약 900명의 현장 목소리를 적극 반영했다.
먼저 전문성 높은 평가단을 구성하기 위해 보건의료 R&D전문가 IRIS 등록을 지속 확대하고 평가위원 중 우수한 위원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별도로 지원한다.
평가단 구성 시 제척사항을 최소화하고 RFP 기획위원 등 기획 취지와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의 평가 참여를 확대한다.
또 평가위원의 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최대 14일의 사전검토 기간을 제공하고 사업 설명자료를 추가 제공한다. 평가 사전교육 및 평가위원장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평가 과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우수·불성실 평가위원에 대한 별도 관리, 평가 현장의 운영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이의신청 처리 절차를 구체화하는 등 그 밖의 평가 절차를 개선한다.
아울러 평가 절차의 효율화와 간소화를 위해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평가 방식을 시범 적용한다. 사업에 따라 2단계 평가를 1단계로 간소화하매년 평가 만족도 조사 시행을 통해 선정평가 애로사항을 업무에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