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도시와의 경쟁서 감점 요인될 수도…분산 개최는 가능"
"비용 절감하기 위해서라도 단 하나라도 설비 아껴야 해"
"기존에 있던 모든 시설 재활용하는 '흑자 올림픽' 될 것"
오세훈 서울시장이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 도전을 전라북도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두고 "외국 도시와의 경쟁에서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도 "분산 개최는 가능하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19일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전라북도 등 여러 지방 지자체와의 올림픽 분산개최를 제안한다'는 유정인 시의원(국민의힘·송파5)의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와 전라북도는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도시 선정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오는 28일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의 투표에 따라 국내 유치도시가 선정된다. 앞서 전라북도는 서울시에 공동 개최를 제안했으나 시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 시장은 "전라북도의 공동개최 제안에 마음 같아선 응하고 싶지만 그러지 못했다"며 "국제 행사이고 외국 도시들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성비 높게, 최대한 절약하며 흑자를 많이 내 그 이익을 스포츠인에게 환원시킬 여지가 많아야 가점을 받는데 전북과의 공동개최가 감점 요인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점수만 낮아지는 게 아니라 저희 준비 기한이 6개월 이상 연장될 수 있는데다 새로 처음부터 평가받아야 하기 때문에 공동개최에는 난점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공동 개최보단 '지역 분산개최'가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개최권을 저희가 가져오면 시설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분산 개최하겠다는 의지를 이미 전북도와 우리 올림픽위원회에도 전달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단 현재 계획으로도 올림픽을 유치하게 되면 서울 시설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올림픽을) 국민적 축제로 승화시키기 위해서라도, 그리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라도 단 하나라도 설비를 아껴야 한다"며 "경기와 인천에 분산 개최할 시설들이 많이 분포돼 있고, 해양스포츠 시설은 부산이나 강원도까지 한군데씩 있다"고 했다.
올림픽 유치 시 재원 마련 계획에 대해선 "구체적인 방안을 말씀드리긴 아직 이르다"며 "한 가지 분명한 건 기존에 한 번 치렀던 대회라 거의 모든 시설을 재활용하는 '흑자 올림픽'이 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