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韓철강, 숨통 트이나...日·中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 임박


입력 2025.02.20 11:25 수정 2025.02.20 11:25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오늘(20일) 무역위 회의서 조사 개시 여부 검토

저가 공급 과잉·트럼프 관세공격 '이중고' 韓철강

현대제철에서 생산하는 열연 제품. ⓒ현대제철

정부가 일본·중국산 열연강판 반(反)덤핑 조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양국의 저가 물량 공세로 시름해 왔던 국내 철강사들이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까지 맞닥뜨리면서 국내 산업을 보호해야 하는 정부의 움직임이 빨라진 것이다.


20일 정부 및 철강업계에 따르면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무역위)는 이날 회의를 열고 중국산·일본산 열연강판의 반덤핑 조사 개시 여부를 논의한다. 이미 정부는 조사에 나서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얇게 펴 만든 철판 형태의 반제품으로 자동차용, 강관용 등 산업 전반에서 사용된다. 대다수 판재류의 기초 철강재로 쓰인다.


앞서 현대제철은 지난해 12월 중국산·일본산 열연강판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가격에 국내로 유입되고 있어 가격 경쟁력 약화가 심각하다며 반덤핑 제소를 했다. 업계에 따르면 일본과 중국 기업이 국내에 공급하는 열연강판은 국내산보다 10~20% 가량 저렴한 가격에 들어온다.


중국과 일본이 열연강판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압도적인 상황이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열연강판 총 수입액 199억4000만 달러 중 중국·일본산은 158억6000만 달러로 전체의 약 80%를 차지했다.


무역위 조사 결과 덤핑 필요성이 확인되면 그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따라 무관세이던 일본과 중국산 열연강판에 반덤핑 관세가 부과돼 국내산 유통가와 비슷해진다.


K철강 숨통트이게 할 유일한 대응책

이번 정부의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은 국내 철강업계의 숨통을 트이게 할 것으로 보인다. 그간 국내로 유입되는 저가 철강재로 가격 경쟁력 약화가 심각해지던 상황에서, 트럼프 리스크까지 발발하며 어느 때보다 정부의 역할이 필요해졌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모든 수입 철강 제품에 25% 특별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당장 내달 12일부터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맞춰 글로벌 철강업계의 관세 전쟁도 본격화했다. 유럽연합(EU)과 튀르키예는 일본산 판재류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고, 칠레는 지난해 중국산 철강재에 최대 33.5%의 관세를 부과했다.


후판 반덤핑 에비조사 결과 발표도 앞둬

정부는 이에 더해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에비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해 7월 현대제철이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고, 정부는 이에 대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결과 발표를 앞뒀다.


업계에선 지난달 중국산 스테인리스스틸 후판에 21.62%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 만큼 이번 후판에 대한 관세도 부과될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미·중 분쟁으로 높아진 무역 장벽에 중국의 수출품이 인접국으로 대거 쏟아질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중국산 후판의 관세 부과 결정은 국내 업체들의 숨통을 트이게 할 것이란 게 업계의 분석이다. 국내 철강사들은 정부가 중국산 후판이 20% 이상 저렴하게 들어온 것만큼의 관세율을 부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관세 리스크는 정부와 함께 대응해야 하는 통상의 일"이라면서 "이번 결정이 국내 철강업계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줄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정인혁 기자 (jin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