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중문화계도 TV수신료 통합징수 한 목소리…시청자들 마음 돌릴 남은 숙제는 [D:이슈]


입력 2025.04.18 08:43 수정 2025.04.18 08:43        장수정 기자 (jsj8580@dailian.co.kr)

'가치소비' 중시 흐름에도

KBS '공영성' 향한 시청자들의 의문

TV수신료와 전기요금을 결합해 징수하는 '통합징수'를 골자로 한 방송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다. 앞서 KBS와 EBS는 물론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 KBS 희극인협회 등 대중문화계도 성명문을 통해 방송법 개정안 통과를 촉구하는 등 한목소리를 내는 등 업계 종사자들의 호소가 통한 셈이다. 다만 그들이 주장하는 필요성과는 별개로, ‘통합징수’에 대한 대중들의 부정적인 시선을 되돌리기 위한 노력도 필요한 시점이다.


TV수신료를 예전처럼 전기요금에 통합 징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법 개정안이 17일 국회 본회의 재투표에서 가결됐다.


이에 KBS는 이후 "이번 개정안 통과는 KBS뿐 아니라 대한민국 방송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정과 제도적 안정을 확보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KBS는 이번 방송법 개정을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아, 공영방송 본연의 사명을 더욱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 진영 논리를 넘어 국민의 삶을 최우선에 두고, 시청자의 눈높이에서 소통하는 공영방송으로 거듭나겠다"고 약속했다.


KBS와 EBS는 물론, 대중문화 업계 여러 단체들은 TV수신료 통합징수의 필요성을 주장했었다. 지난 15일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 KBS 희극인협회, 오케이 좋아 연예인 봉사단 등 대중문화 업계 여러 단체들은 성명문을 통해 방송법 개정안 통과를 촉구했던 것.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는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는 “KBS는) 내로라하는 대한민국 대표 코미디언들의 등용문이자 요람으로서 방송 콘텐츠 발전의 일익을 담당해 왔다”고 KBS의 공영성을 강조하며 “수신료 결합 고지는 단순한 징수 방식의 차이가 아니라, 공영방송 KBS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최소한의 구조적 장치”라고 말했다.


K-콘텐츠 생태계를 위해 마련돼야 할 최소한의 보호막이라는 호소도 이어졌다. 한국방송작가협회는 “KBS 외주 프로그램은 전체 제작 물량의 30∼40%에 이를 정도로 많고 다양하다”고 짚으면서 “이 프로그램들에 지급되는 제작비는 대한민국의 수많은, 영세한 독립제작사들에게는 생명줄”이라는 ‘현실적인’ 이유를 언급하기도 했다.


최근 글로벌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넷플릭스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오징어 게임’ 시리즈는 물론,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 등 큰 제작비를 투입해 시청자들을 사로잡는 드라마는 물론, 최근에는 일일 예능까지 시도하며 예능 시장에서의 영향력도 키워나가고 있다. 600억원을 투자했다고 알려진 ‘폭싹 속았수다’를 비롯한 드라마부터 ‘데블스 플랜’, ‘흑백요리사’ 시리즈 등 대규모 세트장으로 새로운 세계관까지 탄생시키는 예능까지. 이미 넷플릭스가 압도적인 규모로 시장 장악력을 키우는 사이, 방송사도 ‘숨통’을 트일만한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었다.


다만 대중문화 업계 종사자들이 호소하는 필요성과는 별개로, TV 수신료 분리징수에 국민 다수가 찬성한 것도 사실이다. 2023년 약 한 달 동안 대통령실 국민제안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토론에 부쳤던 ‘KBS 수신료 분리징수 안건’은 96.5% 찬성(5만6226건)으로 마감된 바 있었던 것. 당시 반대는 3.5%(2025건)에 불과했다.


국민들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한 KBS의 반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마이클 샌델부터 젠더 이론가 주디스 버틀러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출연해 화제를 모았던 EBS ‘위대한 수업’을 향해 ‘수신료가 아깝지 않다’는 호응이 쏟아지는가 하면, 최근 대중들의 높아진 정치 향한 관심도를 바탕으로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슈퍼챗으로 5000만원이 넘는 수익을 기록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요즘 흐름을 고려하면 KBS를 향한 시청자들의 반감을 마냥 무시할 수는 없다는 것.


대표적인 예로 이번 산불 재난 당시, KBS가 ‘6시 내고향’, ‘생생정보’ 등 일부 프로그램을 편성표 그대로 송출한 바 있는데, 이에 KBS가 공영방송의 역할을 제대로 소화했는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도 했었다. 방송법 개정안 통과 여부를 떠나 ‘신뢰 회복’에 대한 KBS의 노력도 필요한 시점이다.

장수정 기자 (jsj85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