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훈 국제중 비리에 “애들에게 뭘 가르칠 거냐”
탈락자와 합격자 미리 정해 성적 조작, 문서 폐기
영훈 국제 중학교가 입시 비리에 이어 성적조작까지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에 이은 여론의 분노가 확산되고 있다.
영훈 국제중은 신입생 선발 과정에서 1단계 서류전형의 ‘주관적 영역’ 점수를 조작해 특정 학생에게 유리하도록 진행했으며 관련 서류는 모루 폐기처분했다.
물밑에서 부적격 대상으로 정해놓은 학부모의 자녀는 미리 표시해두고 최하점을 줘 떨어뜨리거나 성적미달인 학생들에게 만점을 준 뒤 모두 합격시켰다.
또한 명예퇴직한 교사를 같은 법인 소속 영훈고에 기간제 교사로 고용한 것처럼 서류를 조작해 국고보조금 수천만 원을 받아냈고 임의로 채용한 신입교사 역시 공개 채용을 거쳤다고 속여 교육부에 허위 보고했다.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에는 “불법이나 저지르는 학교가 아이들에게 뭘 가르치느냐”는 네티즌의 비난 글이 쇄도했다.
트위터리안 @kenned****는 “도저히 학교라고 할 수 없다. 지금이라도 문 닫아야 한다. 그리고 관련자들은 엄중 수사해야 한다”며 규탄했고 네이버 사용자 bel****는 “특권을 맛보고 자란 아이들은 커서 어떤 사람이 될까 또 특권으로 지도자가 될텐데 미래가 무섭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뒤틀린 경쟁의 원인을 한국의 교육 시스템 및 대입 전형에서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dreamy**** “중학생 차원의 글로벌 인재라는 개념이 타당한지 의문이다. 우리 교육현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며 국제중 시스템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고 더 나아가 @ok7****는 ”국제중도 결국 대학 잘 들어가려는 것인데 객관성이 부족하고 주관적 요소가 합격을 좌우하는 입학사정관제의 비리는 과연 없을까?“라는 문제를 제기했으며
@hyungk****도 “결국 대학 입학사정관제부터 없애야합니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트위터 사용자 @geoz****는 “검찰자녀 등 고위층 자식들이 많이 다니는 학교인지라 검찰에서 수사를 한다고 해도 제대로 될는지 모르겠다”는 걱정을 토로했고 @poli****는 “한국사회의 슬픈 단상입니다”라며 “경쟁만능의 현실에선 늘 볼 수밖에 없는 우리의 모습이죠”라고 개탄했다.
여론의 분노가 거세지는 한편에서는 “적법한 절차로 입학한 다른 학생들까지 특례입학자로 몰아세우는 마녀사냥은 경계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