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성찬 "NLL이 괴물이냐" 진성준 "지켜왔다"


입력 2013.06.27 16:17 수정 2013.06.27 16:30        백지현 기자

<본회의>5분 자유발언 시작하자 본회의장 '고성' 오가

27일 본회의장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취지 발언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의 장으로 변모했다. 5분 자유발언이 시작되자 본회의에 참석한 의원들은 서로 기다렸다는 듯이 야유와 질타를 쏟아낸 것이다.

우선 해군참모총장 출신 김성찬 새누리당 의원은 “나는 전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는 NLL에 대해 꼭 한 마디를 하고자 한다”며 “40년 동안 NLL을 지키기 위해 청춘의 모든 열정을 바친 예비역 군인으로 NLL과 관련한 진실을 왜곡하고 호도하는 작금의 행태가 서글프기 그지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NLL이 무엇인가. 명백한 군사분계선이다.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양보할 수 없는 피와 죽음으로 지킨 우리의 소중한 해양영토선”이라고 목소리를 높이자 야당 측에서는 ‘염치도 없다’, ‘양심이 있어라’라는 야유의 목소리가 장내에 울렸다.

김 의원도 “NLL이 무슨 괴물이냐, NLL이 무슨 골치덩어리냐, 제 자식이 못 생겼다고 갔다버리는 부모가 어디 있느냐, 이 영토선을 지키려고 소중한 목숨을 바쳤다”며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 잘못을 숨기려고 하지 말고 본질을 훼손하려고 하지 말라”고 재차 목소리를 높였다.

NLL 대화록 파문으로 여야의 공방이 거세지는 가운데 지난해 27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김성찬 새누리당 의원과 진성준 민주당 의원이 각각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상대당을 비판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그러자 야당의 반발은 더욱 거세졌다. 야당 의원들은 ‘정치적으로 이용해 먹지 마라’, ‘왜곡을 누가 했느냐’, ‘양심이 있으면 사과부터 해라’고 비난했다. 야당의 한 의원은 탁자를 치며 ‘에이!’라고 성토하기도 했다. 이에 맞서 여당 측에서도 ‘조용히 해라, 의사진행을 하고 있지 않느냐’, ‘잘 한다’라며 김 의원을 격려했다.

김 의원은 아울러 “국민들께 석고대죄를 하는 것만이 진정한 국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발목이 잡혀 미래로 나아가지 못하면 안 된다. 모두가 하나 된 마음으로 미래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의사발언을 마친 뒤에도 여야 의원들은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고 서로를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강창희 국회의장이 “자 조용히 하세요.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며 “이번에 민주당 의원의 의사진행 발언이 있으니 들어보자”며 교통정리에 나섰다.

진성준 “민주당은 NLL을 지켜왔고 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곧이어 진성준 민주당 의원은 “우리는 오늘 국회의원의 특권을 내려놓는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지만 남북관계 파탄을 그대로 둔 채로 민생법안 처리는 국민에게 위안이 될 수 없다”고 포문을 열었다.

진 의원은 “새누리당, 국정원이 서로 짜고 정치 공작을 벌인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이들은 민족의 운명이 걸려 있는 남북문제를 대통령 선거에 이용했다”며 “대선 당시 새누리당 선대위 최고 책임자가 1급 기밀을 주물렀다.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은 대선 때 이미 대화록을 입수해 읽어봤다고 했는데 선거에 이용했으면 실토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 의원은 특히 김무성-서상기-정문헌 새누리당 의원의 발언을 인용해 그 동안의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하며 이들의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정 의원은 통일부 국정감사에서 '노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했다고 했다'고 말했고,(사실이 아니면) 자신의 말에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했다”며 “또 서상기 정보위원장은 NLL포기 발언은 물론이고 ‘김정일 위원장에게 보고드렸다’고 하면서 과장이면 사퇴하겠다고 했는데 거짓말임이 명백히 드러났다. 이들은 국민에게 공헌한대로 의원직을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번에는 여당 측에서 ‘그만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그러자 야당 측에서도 ‘사퇴하라, 약속을 지켜라’, ‘옳다. 잘한다’라고 주장, 한동안 여야 간 고성이 이어졌다.

진 의원은 남재준 국정원장에 대해서도 “남 원장은 ‘국정원의 명예로 대화록을 공개했다’고 했는데 명예가 국가 이익보다 중요하단 말이냐”며 “대통령기록물을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공개한 것은 국기기관의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과 민주당은 NLL을 지켜왔고 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새누리당의 억지 왜곡 주장이 누구를 이롭게 하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아울러 “김무성, 서상기, 정문헌 의원은 의원직을 내려놓고 법의 심판을 받는 것이 특권 내려놓기의 시작일 것”이라며 “이러한 조치가 선행된 이후에 우리가 처리하는 법안들이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오늘 의사일정을 진행하기 앞서 전모를 밝히고 국민에게 사과할 것을 요청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백지현 기자 (bevanil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백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