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인도 특사 만나 '북핵 불용' 공감
2일 메논 국가안보보좌관 접견…우리 정부 지지 인도에 감사
박근혜 대통령이 2일 만모한 싱 인도 총리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한 시브샨카르 메논 인도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메논 인도 국가안보보좌관을 접견하고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용인될 수 없다는 데에 중국 지도부와 인식을 같이했다”면서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시 우리 정부를 지지한 인도 정부에 고마움을 전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내용과 취지를 설명하며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분명하고 단합된 목소리를 북한에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인도 정부도 북한에 이러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같이 협력해 주기를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메논 특사는 “인도의 입장은 분명하다”면서 “북한의 도발과 보상의 악순환이 지속되는 것을 용인할 수 없으며, 북한이 비핵화를 이루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고 인도로서는 비확산차원에서도 이를 중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메논 특사는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에게 싱 총리의 친서를 전달하며 인도 방문을 공식 요청했다. 싱 총리는 친서를 통해 한국과 인도 양국 관계의 가일층 발전을 위해 박 대통령의 조속한 인도 방문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싱 총리의 초청에 감사를 표명하는 한편, 싱 총리에게 각별한 안부를 전해줄 것을 메논 특사에게 요청했다. 또 “한국과 인도의 양국 관계를 중요시하고 있는 만큼, 가능한 조속히 인도 방문이 실현될 수 있도록 외교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가자”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한·인 양국 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체결로 경제협력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오딧사주 포스코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가 조기에 실현될 수 있도록 인도 정부가 관심을 갖고 지원해 줄 것을 부탁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현재 일부 주민의 반대 등으로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메논 특사는 양국 간 협력 잠재력이 크다는 점에 공감하면서 “인도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연간 2000억불, 총 1조달러의 인프라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한국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포스코의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해 “인도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해당 프로젝트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