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손목이 갑자기 찌릿찌릿 보나마나 당신 직업은...


입력 2013.07.06 10:47 수정 2013.07.06 10:51        데스크 (desk@dailian.co.kr)

<윤영권의 재활클리닉-손목통증>마우스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치과의사

지난주에 이어 두 번째로 손목의 통증에 대하여 이야기 하겠다. 손목 터널 증후군이라는 것은 아주 흔한 질환으로 한 사람이 평생을 살면서 50% 정도에서 걸릴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그 원인이 손목에 있는 신경이 눌려서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통증들과 약간 다른 양상을 취하게 된다. 즉 저릿저릿 하다는 것이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왜 생기는 것인가?
한마디로 손목의 압력이 높아질 때 이다. 그렇다면 어쩔 때 손목의 압력이 올라가는 것인가?

정중신경의 위치 _ 손목의 손바닥 쪽에 위치하고 있다. 윤영권 제공.

정중신경은 다음과 같이 손목에서 손의 바닥 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손목을 구부리는 동작이나 꽉 쥐는 동작 또는 물리적으로 손목부위에 압박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때 발생한다

이론적으로 잘 발생한다고 되어 있는 환자 군과 실제로 본인이 외래에서 많이 접하는 환자 군이 조금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데 실제로 외래에서 많이 접하는 환자 군은 마우스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 항상 기구를 쓰면서 손목을 구부리는 동작을 하루 종일 하는 치과의사, 아기 돌보는 어머니나 할머니 등이다.

1.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은?

수근관 증후군이 생기면 우선 손목이 아프다. 손목에 둔한 느낌과 함께 있는 통증, 손가락의 저릿저릿한 느낌 등이 주 증상인데 수근관 증후군에 관여하는 신경은 다음과 같은 분포를 보이므로 첫 번째에서 네 번째 손가락의 절반까지만 저리게 된다. 외래에서 환자들에게 어디가 저리냐고 했을 때 그냥 다 저리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근관 증후군 의심환자들은 신경의 변이가 없는 한 이 부위에서만 저린 느낌을 갖게 된다

저린 부위: 1,2,3번째 손가락과 4번째 손가락의 반. 윤영권 제공.

2.수근관 증후군의 자가 테스트 법

수근관 증후군의 자가 테스트 법은 간단하다.

사진과 같이 양 손등을 맞닿게 하고 1분간 유지하면 저린 느낌이 확 온다. 이 검사는 손목 터널 증후군이 굳이 없다고 하더라도 저릴 수 있으므로 어느 쪽 손이 더 저린지, 또 지금 현재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이 없더라도 한 번 해 놓으면 다음에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이 생기면 느낌을 비교하여 진단이 용이해 질 수 있다. 그리고 반대쪽 손가락으로 손목의 중앙을 ‘톡톡’ 쳤을 때 더 저린 느낌이 나면 테스트 양성이다

손가락으로 다음의 부분을 톡톡 친다. 저릿저릿한 느낌이 나면 양성. 윤영권 제공.

다음과 같이 양 손등을 맞닿게 하여 1분간 유지 후 손에 저린 느낌이 오면 양. 윤영권 제공.

3.그렇다면 자가 해결책은 무엇인가?

①손목의 압력을 줄여야 한다. 마우스를 오래 쓰는 직장인들의 경우 오늘 같은 경우라도 푹신푹신한 것을 손목에 깔아보자

②다음과 같은 운동을 한다. 다음과 같은 움직임 및 운동은 하나의 공통된 목표를 갖고 있는데 손목의 압력을 줄이고 주변부의 근육 및 인대, 힘줄을 강화 한다는 것이다

수근관 증후군 예방 및 치료 운동들

A.능동적인 스트레칭

손목을 구부리고 펴기를 반복한다. 이 자세는 10-15초정도 유지 할 것. 윤영권 제공.

B.수동적인 스트레칭

반대쪽 손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스트레칭 되게 구부리고 펴기. 역시 10-15초 정도 유지할 것. 윤영권 제공.

C.병을 이용한 손목 주위 근력 강화 운동

병 꽉 움켜잡기. 윤영권 제공.

병을 꽉 움켜잡은 상태에서 힘을 주어 손목을 구부린다. 10초 정도 유지한다. 윤영권 제공.

병을 꽉 움켜잡은 상태에서 손목을 위로 들어 올린다. 10초 정도 유지한다. 윤영권 제공.

③ 다음과 같은 고정 장치를 밤에만 착용하고 잔다. 이 고정장치 또한 손목을 15도 정도 펴게 하여 손목의 손 바닥 쪽의 압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윤영권 제공.

수근관 증후군은 본 저자가 설명한 것처럼 원리만 잘 알고 있으면 비교적 예방하기 쉬운 근 골격계 손상이다. 본인이 수근관 증후군에 걸릴 확률이 높은 일을 하고 있다면 위에 소개한 운동을 생활화 하여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

글/윤영권 재활의학과 전문의 http://Blog.naver.com/yoonylscd4

데스크 기자 (de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