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단 회동…귀태 논란 마무리?
여야가 13일 오후 원내대표단 회동을 갖기로 하면서 민주당 홍익표 의원의 ‘귀태(鬼胎) 발언’ 논란으로 촉발된 대치정국이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날 회동을 통해 새누리당이 민주당 측의 사과 등 조치를 수용할지 여부가 관건이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민주당에 원내대표단 회동을 제안했으며, 민주당이 이를 수용하면서 오후 양당의 회동이 이뤄질 예정이다.
일단 양당 원내수석대표간 회동을 통해 입장을 조율한 뒤 절충이 이뤄질 경우 원내대표 회동을 통해 합의사항을 확정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최경환 원내대표와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12일 저녁 있었던 민주당 김한길 대표의 유감 표명과 홍 의원의 사과 및 원내대변인직 사퇴 수용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
대책회의에서 새누리당 입장은 대략적으로 정리됐으며, 여야 원내대표단 회동을 통해 야당측과 협의, 국회 정상화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새누리당이 민주당 측의 조치에 100퍼센트 만족은 못하더라도 국회운영 정상화를 위해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어 조건부로 사과를 수용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앞서 홍 전 원내대변인은 지난 11일 국회 브리핑에서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란 책 내용을 인용해 “책에 ‘귀태’라는 표현이 나온다. 당시 만주국의 귀태 박정희와 기시 노부스케가 있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귀태의 후손들이 한국(박 대통령)과 일본(기시 노부스케의 외손자인 아베 총리)의 정상으로 있다”고 말했다.
이에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거세게 반발하며 사과를 촉구했고, 논란이 이어지자 홍 전 원내대변인은 사퇴를 발표했다.
한편, 이날 여야 원내대표단 회동에서는 활동이 종료되는 공공의료국정조사특위 재가동 여부, 2007년 정상회담 대화록 열람 등 국회운영을 정상화하는 방안에 대한 조율도 이뤄질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특위를 재가동하는 조건으로 동행명령을 거부한 홍준표 경남지사를 출석시켜 증언토록 할 경우 홍 지사에 대한 고발방침 철회를 특위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특위 재가동 등에 대해선 긍정적인 입장이지만 동행 명령을 거부한 홍 지사 고발방침 철회는 곤란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져 이 부분에 대한 조율도 필요하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