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맛가루 위해성 놓고 경찰과 식약처 '딴소리'


입력 2013.07.16 11:42 수정 2013.07.16 11:52        스팟뉴스팀

경찰 "비위생적" vs 식약처 "인체에 무해"

지난 2일 경찰이 밥에 뿌려 먹는 첨가물 이른바 '맛가루'가 '사료용 채소류'로 만들었다며 위해성을 지적한 가운데, 2주가 채 안된 15일 식약처는 '저질 재료'는 맞지만, 인체에 위해하지 않다고 알려 소비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SBS 보도화면 캡처

경찰이 밥에 뿌려 먹는 첨가물 이른바 ‘맛가루’가 비위생적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데 반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상반된 조사 결과를 발표해, 소비자 사이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앞서 경찰은 지난 2일 밥에 뿌려 먹는 식품 ‘맛가루’ 제조업체와 제품을 조사한 결과 ‘사료용 채소류’를 사용해 비위생적인 식품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2주가 채 안된 15일 식약처는 저질 원료를 쓰긴 했지만 인체에 해롭지 않아 회수 등의 조치는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경찰과 식약처가 ‘맛가루’ 위해성을 놓고 상반된 입장을 보인 것.

식약처는 15일 발표에서 저질 원료에 대해 “다시마, 채소분말을 남은 자투리, 배추 겉잎 같은 저질 원료로 만든 건 맞다”고 인정하면서도 “선별, 세척, 건조 등 가공 과정을 거쳐서 인체 유해성은 없다. 또 해당 원료로 만든 제품을 수거해 살펴보니 이물질, 식중독균, 대장균 기준이 모두 식품에 적합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결국 재료가 문제인 것은 맞지만, 가공 과정을 거쳐 완제품에는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놓은 것이다.

지난 5월부터 경찰과 식약처는 업무협약을 맺어 불량식품 단속을 함께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불량식품 여부 조차 판단하는 데 다른 견해를 보인 것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국민 먹거리 안전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하는 경찰과 식약처가 ‘손발이 참 안 맞는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정홍원 국무총리는 경찰과 식약처의 상반된 결과로 불거진 ‘맛가루 위해성 논란’에 대해 “먹거리는 국민건강을 위하여 중요한 문제인 만큼 먹거리로 적합하지 않은 제품들이 유통되는데 대해 지도 단속을 강화하고, 위반 시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라”고 식약처에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