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조해진 "감사원, 4대강 결과 정해놓고 짜맞춰"


입력 2013.07.31 11:25 수정 2013.07.31 11:29        조성완 기자

"대운하 전초작업 결론 내려놓고 필요한 발언들만 끌어다 갖다 붙여"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 ⓒ데일리안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은 31일 이명박 정부가 대운하 재추진을 염두에 두고 4대강 사업을 추진했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와 관련, “감사원은 그런 감사를 부끄러워해야 한다”며 특정 발언을 끼워 맞춘 기획 감사라고 비판했다.

친이(친이명박)계인 조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감사원이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대운하의 전초 작업이라고 결론을 내부적으로 내려놓고 그 많은 자료들 가운데 필요한 발언들만 끌어내서 갖다 붙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감사원이 이 문건을 근거로 대운하로 판단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 사람들 참 문제 있는 사람들이고 엉터리구나’라는 생각을 했다”면서 “그 문건은 나도 봤는데 그 안에는 박영준 전 국무차장 뿐만 아니라 박재완 전 국정기획수석의 발언도 나오고 그 밑에 비서관의 발언도 나온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 자리에서 최고선임은 박 전 수석인데 감사원 문건에 따르면 박 전 수석이 국토부 안으로 하자고 발언했고, 4대강 결론은 그의 주장대로 됐다”며 “박 전 수석보다 직급상으로도 아래고, 이 사업 담당자도 아닌 박 전 차장의 발언을 갖고 대운하 전초사업으로 몰아간 것은 감사원의 의도가 드러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조 의원 특히 “사업검토 과정에서 수많은 회의가 있었고 이 문건은 그 수많은 회의 자료들 가운데 하나의 자료일 뿐이며 그 안에도 보면 그 참석자들이 각자 다양한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면서 “누가 무슨 말을 했느냐가 아니라 그런 회의를 거쳐서 최종 결론이 어떻게 났고, 사업시행이 어떻게 됐느냐가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운하 추진을 염두에 두고 보의 위치와 준설을 계획했다’는 감사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기후 변화에 대비해 우리 국토의 총 저수량을 10% 더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그 방법으로 경북 영주와 영천에 댐을 두개 새로 만들고 4대강 준설 확대를 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감사원이 근거로 제시한 자료에도 낙동강 준설은 하구 을숙도 하구원에서부터 경북 구미까지만 준설하는 것으로 돼 있다”면서 “운하를 하려고 했다면 거기까지 준설하면 안 됐다”고 주장했다.

보의 숫자가 16개로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도 “물을 그만큼 더 가두기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그 지역의 수변개발이나 지역개발과 연계해 지역여론을 수렴해서 그만큼 늘어난 것”이라며 “대운하를 만들려고 했다면 갑문이나 계류장을 설치하고 터미널을 만드는 게 더 중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조 의원은 ‘4대강 공사의 영향으로 녹조현상이 생겼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녹조는 4대강 사업 전에도 있었고 그 이후에 특별히 늘어났다고 볼 과학적 근거도 없다”면서 “모든 것을 4대강 사업으로 돌리는 것은 원천적으로 반대했던 사람들의 음해성 논리”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올해 남부 지방의 경우 낙동강 연변 등에는 비가 거의 안 왔는데, 그런 것들이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성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