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출간 저서 '실패로부터...'서 밝혀, 송호창 "원론적 이야기"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가 8일 안철수 무소속 의원과의 연대 필요성을 거론했다.
심 원내대표는 이날 출간된 저서 ‘실패로부터 배운다는 것’에서 “지금 안철수라는 정치인에게 모아지는 기대는 예전 진보정당에 모아졌던 기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며 “ 때문에 안 의원과는 새 정치와 정치개혁을 위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심 원내대표와 안 의원은 안 의원이 4.24재보궐선거로 국회에 입성한 뒤 친분을 쌓아왔다. 두 인사는 한국정치의 ‘양당제’에 대한 문제점을 논의한 적이 있고, 안 의원은 심 의원이 속한 의원연구모임인 복지노동포럼에 가입했다. 심 원내대표의 의원실은 516호, 안 의원은 518호로 ‘이웃사촌’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두 인사의 ‘연대설’은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심 의원은 저서에서 이 같이 안 의원과 별도로 회동했던 사실을 언급하며 “안 의원에게 ‘이미 정치적 기득권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자각하는 게 중요하다. 그 기득권은 국민이 새로운 정치에 대한 열망과 기대로 준 것이니 정치 개혁을 위해 사용하길 바란다’는 말을 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민이 안 의원의 새 정치에 거는 기대는 장강의 뒤 물결이 앞 물결을 치고 나가듯 낡은 정치를 극복하라는 응원”이라며 “그 일은 나와 진보정치가 하고자 했던 일이고, 지금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동업자”라고 강조했다.
심 의원은 또 자신이 생각하는 ‘정치적 연대’와 관련, “기본적으로 국민과의 관계라고 생각한다. 국민과의 관계는 국민과 함께해온 실천의 스토리”라며 “이는 공개적이고 대중적인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 정당과 정치인들이 연대를 하면 왜 연대를 하고, 갈라서면 왜 갈라서야 하는지 공개적으로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적극적 연대'는 유보적…안철수 측 "우리도"
그는 안 의원이 내놓은 ‘진보적 자유주의’에 대해선 “이 순간부터 안 의원의 정치가로서의 고민이 시작됐다고 본다”면서 “물론 진보적 자유주의는 거의 바다와 같은 개념이라 누가 헤엄을 치느냐에 따라 실제 모습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안 의원은 또 “나는 안 의원이 민영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FTA(자유무역협정)에 대해 어떤 입장인지 잘 모른다”면서 “이후 안 의원이 내놓은 비전과 정책에 따라 (연대를)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새 정치를 함께 이끌어간다는 의미에서 안 의원이 동업자이긴 하지만, 아직 정책적 입장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일단 적극적 연대는 유보하겠다는 뜻이다.
그는 안 의원에게 연대의 핵심 요건으로 ‘노동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어떤 세력이냐를 떠나 진보정치가 마중 나갈 수준의 진보적 자유주의가 무엇이냐에 대해 나는 명확한 기준을 갖고 있다. 그것은 오늘의 대한민국이 갖고 있는 가장 핵심 과제가 무엇이냐는 문제”라며 “나는 그것이 노동 문제라고 본다. 이런 인식을 공유할 때 진정한 연대가 가능하리라 본다”고 강조했다.
심 원내대표는 또 향후 진보진영의 새로운 노선은 ‘사회민주주의’(사민주의)라면서 “사민주의란 한마디로 자본주의를 민주주의로 바꾸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심 원내대표의 ‘러브콜’에 안 의원 측은 “원론적인 차원”이라며 선을 그었다.
안 의원의 최측근인 송호창 무소속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 심 원내대표의 이 같은 언급을 두고 “여야가 협의를 통해 정치 문제를 풀어나가지 못하고, 계속 독주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야당 간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원론적 차원에서의 이야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항상 (야권 간) 연대를 하는 것만이 답은 아닐 것이고, 사안별로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며 “각자 자신의 정책과 정치적 방향에 따라 활동하는 게 당연한 방법일 것”이라고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