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요구한 적 없는 '드레스코드' 논란에 난감
"참석자 복장 내부문건에 표시한 것 뿐, 민주당 오해 있었다"
청와대가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회담에 참석하는 김한길 민주당 대표에게 정장에 넥타이 차림을 요구했다는 논란과 관련, “(청와대 측) 배석자들에 대한 얘기를 하다가 전달을 했고, 사실 그쪽(민주당)에서 온 분들에 대해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16일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밝히며 “오해가 있었던 것이다. 설마 그쪽에 대해 그런 요구를 하겠나. 일부 언론에 보도된 것을 보고 정무수석비서관이 전화를 해 김 대표에 대해서는 오해가 특별히 없었으면 좋겠다고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청와대는 외부 행사에 앞서 참석자의 복장을 내부문건에 표시한다.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하는 신임 공직자들이 계절에 상관없이 넥타이를 착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관계자는 “해외순방에 대한 설명회 자리에 외교수석, 경제수석, 정무수석, 홍보수석도 당연히 참석하고 일부 비서관이 참석한다”면서 “(우리 측 참석자가) 서너 명이 참석하더라도 복장에 대해 표시를 한다. 그 내용을 보고 정무파트 쪽에서 (민주당 측에도) 전달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복장에 대해서는 어느 자리나 상황이나 맞게 본인이 알아서 형식을 갖추지 않겠느냐”면서 “새 청와대는 그동안 지켜봐서 알겠지만 이런 정도를 가지고 통제를 한다든가, 상대방으로부터 대접받고자 (또는) 본인이 인정받고자 강요하고, 그런 것은 새 정부의 상식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민주당 측은 지난 14일 박준우 정무수석이 김 대표 측 노웅래 비서실장에게 전화를 걸어 “회동 때 김 대표가 정장양복과 넥타이를 착용하고 와달라”고 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와 관련, 노 실장은 ”청와대 측은 ‘윗분의 지침’ 이외에는 할 말이 없다는 입장을 반복했다”면서 “회담 제안에서부터 진행방식 결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일방통행식 불통과 비정상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도 16일 오전 당내 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옷 잘 챙겨 입고 간다”면서 강한 불만을 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