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차리기, 1열(시접·술잔)·2열(생선·육류)·3열(탕류)·4열(포·나물)·5열(과일)
온가족이 한데 모이는 ‘추석’이 돌아왔다. 다함께 하는 즐거움은 크지만, 매번 준비하면서도 잊어버리는 ‘차례상 차리기 울렁증’ 때문에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그러나 간단한 원칙만 알고 있다면 ‘차례상 차리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추석 차례상, 어떻게 차려야 할까.
우선 한 상을 5열로 본 뒤 상 안쪽에서부터 1열로 본다. 이후부터는 열에 맞는 원칙대로 음식을 놓으면 된다. 1열에는 조상들의 성함 및 직함 등을 쓴 신위와 수저를 담은 시접, 술잔과 그 받침대인 잔반과 송편 등이 놓인다. 1열은 이것으로 마무리된다.
다음 2열에선 생선과 육류가 올라간다. 여기선 ‘어동육서’, ‘두동미서’ 원칙이 적용돼 어류는 동쪽(오른쪽), 육류는 서쪽(왼쪽)에 놓아야하며,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해야 한다. 아울러 등 푸른 생선, 이름에 ‘치’가 들어가는 생선은 쓰지 않는다.
3열에선 탕류가 오른다. 좌측을 기준으로 고기를 넣어 만든 육탕, 두부 및 채소를 넣은 소탕, 생선을 넣은 어탕 등을 순서대로 놓으면 된다. 4열에선 포와 나물 등을 올리는데 일단 ‘좌포우혜’ 원칙에 따라 왼쪽에는 포, 오른쪽에는 식혜를 놓는다. 나물은 좌측부터 검은색을 띠는 고사리를 왼쪽, 가운데에 흰색 도라지, 오른쪽에 푸른색의 미나리 등을 놓는다.
마지막 5열에선 대추, 밤, 배, 곶감을 뜻하는 ‘조율이시’와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으로 놓는다는 ‘홍동백서’ 원칙이 적용된다. 우선 상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을 놓고, 사과와 같은 붉은 과일은 동쪽, 배와 같은 흰 과일은 서쪽에 놓으면 된다. 한과와 약과는 오른편에 놓는다.
한편, 차례상 차리기는 스마트폰 앱으로도 해결할 수 있다. ‘제사’, ‘차례’와 같은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앱에선 제사나 차례에서 준비해야할 음식을 지역별로 알려주는 것은 물론 제사 또는 차례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각 단계별로 어떤 행동을 취해야하는지 등을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