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동양 사태에 또 다시 가슴 찢어지는 '개미들'


입력 2013.10.01 16:34 수정 2013.10.01 20:52        이미경 기자

온라인 게시판서 서명운동, 날벼락 맞은 투자자 성토장 방불

동양그룹 사태로 인해 또 다시 소규모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중구 청계천로 (주)동양 본사 모습 ⓒ연합뉴스
"동양사태 이번에도 개인들이 떠안아야 되나요?"

"위험하다는 말을 한번이라도 들었으면 절대로 채권이니 CP니 손대지 않았을거에요. 평생을 모은 전재산이 하루아침에 없어지는 이 나라에서 사는게 무슨 희망이 있을까요?"

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동양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의 서명운동이 한창이다.

온라인 게시판에 사연을 올린 투자자들은 하나같이 힘없는 개미가 증권사 직원의 감언이설과 불완전판매로 큰 손실을 떠안게 됐다며 성토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각기 다른 사연들이 올라왔다.

'이**'라는 네티즌은 "저흰 투기꾼도 아니고 여유자금으로 투자한 것도 아닙니다. 연이율 7% 수수료 떼고 6% 받았습니다. 대부분 집살돈, 결혼자금 등 단기간내에 쓸 돈을 증권사 직원들의 원금보장 말에 채권도 신탁도 잘 모르는 주부나 노인분들이 가입했습니다. 힘없는 개미만 피해를 입는 악순환을 끊어주세요"라고 말했다.

'은**'라는 네티즌은 "돈을 다 돌려달라고 하는게 아니다. 불완전판매로 개미들에게 다 떠넘기는 이런일이 다시 반복되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늘**'라는 네티즌은 "담보돼있다 안전하다 등의 말로 꾀어놓고서는 이제와서는 직원들이 발뺌한다. 동양증권 모든 직원들이 사기꾼같다"고 비난했다.

동양 증권에서 판매하는 회사채와 CP를 샀다가 손실을 입은 투자자들은 그동안 금융사고가 발생할때마다 고스란히 피해를 입는건 개인투자자라며 악순환을 끊어야한다고 하나같이 성토했다.

금융당국이 뒤늦게 관련 규제를 도입해 피해자들이 오히려 급증했다며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에 대한 불만도 속출했다.

'청**'라는 네티즌은 "금감원은 동양증권이 왜 부실채권을 소비자에게 파는걸 6개월이나 유예시켜줘서 순진한 개인투자자들만 피해를 입게 수수방관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CP시장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는 지난해부터 제기돼왔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늦장 대처가 도마위에 오르며 비난이 이어졌다.

지난해 11월 금융위가 금융투자업 규정변경을 예고하고 올 4월에 개정은 완료했지만 시행은 6개월 뒤로 미룬 탓에 부실을 키웠다며 금융당국에 대한 비난 화살이 쏟아졌다.

게다가 금융당국이 최근에서야 증권사가 투자부적격 등급인 계열사 회사채와 CP 등의 판매와 펀드 및 신탁 등에 편입을 제한키로 하는 등 뒤늦게 규제에 나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한편 동양과 동양레저, 동양인터내셔널, 동양시멘트, 동양네트웍스 등 동양 계열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이어지는 가운데 피해자들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금융소비자원은 지난달 30일 동양 계열사들의 법정관리가 발표된지 하루만에 무려 3000여 건의 신고가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