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주장하는 '새정치'와 달리 민주당 인사들만
관망하던 여권 '안심' 텃밭경쟁 민주당도 '안도'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신당 창당을 위한 ‘세(勢)넓히기’에 본격 시동을 걸고 있지만, 당초 명성을 찾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안 의원이 창당 발판으로 삼았던 ‘인재영입’이 그다지 흥미롭지 않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신선함’이 부족하단 얘기다.
최근 안 의원이 야심차게 내놓은 ‘정책네트워크 내일’(이하 내일)의 호남지역 실행위원 등은 대체적으로 실망스럽다는 평을 받았다. 안 의원의 싱크탱크이자 신당의 전신(前身)으로 불리는 ‘내일’의 대표주자들이 민주당 인사들로 점철됐다는 이유다. 전북 실행위원에는 정동영 민주당 상임고문 인사들, 광주·전남 또한 민주당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단 핀잔을 받았다.
당초 안 의원의 ‘세 넓히기’로 지지자들을 빼앗길까 노심초사했던 여권은 이런 안 의원의 행보에 “안 의원이 ‘300분의 1’로 굳어졌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안 의원 측과 ‘텃밭 경쟁’을 벌이는 민주당 측 또한 안도를 넘어서 안타까워하는 기류까지 포착된다.
민주당 4선 의원의 한 보좌진은 최근 ‘데일리안’과 만나 “이번에 안 의원 측에서 발표된 인사들을 좀 알고 있는데 솔직히 정치판에서 닳고 닳은 분들”이라며 “만약 향후 선거에 나온다면 B급 또는 C급으로 급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이 보좌진은 또 “좀 더 신선한 사람들을 통해 ‘안철수의 사람들’이란 인상을 줘야하는데 그런 게 없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민주당 3선 의원 보좌진 또한 “인재가 없다”면서 “기존 정당서 사이드에 있던 사람들이 모였다. 안 의원 측에선 이 정도면 많이 알려지지 않고, 순수한 사람들로 구축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외부에서 봤을 땐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이 오는 10월 재보궐선거를 포기한 것도 그의 신선함 저하에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재보선 지역구가 9곳 정도에서 2곳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이 2곳 또한 여당바람이 세다는 이유 등 여건이 받쳐주지 않은 게 선거 포기 이유로 꼽히지만, 주요 이유는 ‘능력 있고 신선한 후보’를 영입하는데 난항을 겪었기 때문이란 말이 많았다.
앞서 안 의원은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나 윤여준 전 환경부장관 등 신선하면서도 저명한 인사들을 ‘잡았다 놓치는’ 상황을 반복하기도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