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허재호, 넘쳐나는 2번…트레이드 진원지?
김민구·강병현 등 역대 최강 공격형 가드군단
내외곽 불균형 숙제..KCC발 대형 트레이드 관심
전주 KCC 허재 감독은 현역시절 설명이 필요 없는 최고의 농구스타였다.
내외곽 가리지 않는 전천후 공격력과 모든 포지션을 넘나드는 기량, 승부처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강심장은 허재 감독의 트레이드마크였다. 허재 감독의 현역 시절 주 포지션은 2번(슈팅가드)이었다. 공교롭게도 올 시즌 KCC에는 그야말로 포스트 허재를 꿈꾸는 '농구대통령 후예들'이 대거 운집했다.
이미 KBL 정상급의 슈팅가드로 꼽히는 강병현과 김효범에 이어 '아시아선수권 히어로' 김민구까지. 임재현과 박경상도 2번 성향이 강한 1번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KCC는 그야말로 역대 최강의 공격형 가드 군단을 보유하게 된 셈이다.
허재 감독은 KCC에서 두 번의 우승컵을 거머쥐었지만 당시는 장신센터 하승진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확률농구를 표방했다. 높이를 바탕으로 한 농구는 안정적이고 위력적이었지만, 전성기의 허재 감독처럼 테크니션들이 내외곽들을 넘나들며 상대 진영을 헤집는 폭발적인 공격농구를 기대한 팬들과는 조금 거리가 있었다.
그럼에도 허재 감독은 KBL에서 공격적인 부분에서 선수들의 자율성에 가장 관대한 지도자중 한 명으로 꼽힌다. 코트에서 강성 이미지 때문에 선입견이 많지만, 허재 감독이 선수들을 질타하는 부분은 약속된 팀 전술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거나 집중력을 잃었을 때다.
반면 적극적인 일대일 플레이나 오픈 찬스에서의 슛 실패에 대해서는 큰 지적을 하지 않는다. 선수들은 오히려 슛 찬스를 머뭇거리다가 놓치거나 소극적인 플레이를 하다가 질책을 받는 경우가 많다.
KCC는 지난 시즌보다는 전력이 크게 향상됐지만 내외곽의 불균형이라는 숙제도 안게 됐다. 올해까지 하승진이 없는 골밑은 외국인 선수를 제외하면 믿을만한 토종센터가 없다. 반변 가드진은 포화상태라고 할 만큼 포지션 중복이 심하다.
포워드진에도 장민국, 노승준, 이한권 등 출전기회를 줘야하는 선수들이 많다. 다른 팀에 가면 당장 중용될만한 선수들이 넘치다보니 일단 포지션 교통정리부터 마치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시즌 중 전력보강을 노리는 팀들이 KCC에 러브콜을 보내면 트레이드의 진원지가 될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다.
다행인 것은 강병현과 김민구 등이 모두 여러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어라는 점이다. 김민구는 대학리그를 마치고 팀 훈련에 늦게 합류한 만큼 출전시간이나 역할에서 어느 정도 적응기가 필요하다.
지난 시즌에도 줄부상이라는 악재로 고전한 만큼, 시즌 초반에는 여유 있게 로테이션 시스템을 가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허재 감독이 강병현, 김민구, 김효범, 박경상 등이 한꺼번에 출전하는 스몰라인업 전략도 자주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올 시즌 KCC는 냉정히 말해 여전히 우승 전력과는 거리가 있다. 기복 심한 경기도 많을 전망이다. 그러나 적어도 재기 넘치는 가드들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인 공격농구를 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선수들에게 성장의 자양분이 될 허재 감독의 '불타는 동공'은 올 시즌 KCC 농구를 바라보는 또 다른 재미가 될 전망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