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 "삼성 떡값? 단돈 10원도 받아본 적이 없다"
<인사청문회>"국정원 댓글 수사 특검하겠다면 따르겠지만 믿어 달라"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가 13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국가정보원(국정원) 등 주요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수사를 위한 특검 주장이 나오는 것과 관련, “국회 결정에 따르겠지만 검찰을 믿어 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첫 번째 질의를 맡은 김도읍 새누리당 의원은 통합진보당의 종북논란 등 불안한 정국을 설명하며 김 후보자에게 ‘국정원 특검’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이에 김 후보자는 “특검은 국회에서 결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현재 검찰에서 수사 중이므로 가급적 한 번 믿어주시면 좋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이를 두고 “국정원 댓글 수사가 거의 마무리 되었고 공판이 진행 중이다. 그런데 지금 특검을 주장한다는 것 자체가 지극히 정치적인 공세에 불과하다”면서 “예산 심사를 앞두고 실효성도 근거도 없는 특검 주장으로 민생 발목을 잡는 건 타당치 않다고 본다. 후보자는 특검에 대한 입장이 명확해야 한다. 그렇지 않느냐”고 거듭 물었다.
하지만 김 의원의 반복된 공세에도 김 후보자는 “국회 결정에 따르겠다”는 짧은 답변으로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같은 당 노철래 의원도 “현재 운영되는 특검 제도의 실효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과연 특검이 필요한가’라는 의문이 생긴다”며 특검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특검은 어차피 국회가 어떤 쟁점에 관해서 하든 우리는 따라야한다”면서도 “다만 현재 검찰이 수사 중인 사건은 국민도 같이 지켜봐주시길 바란다”며 말을 아꼈다.
"삼성 떡값? 단돈 10원도 받아본 적 없는데 답답해"
아울러 이날 인사청문회에선 김 후보자의 ‘삼성 떡값’ 의혹도 여러 차례 제기됐다.
신경민 민주당 의원은 ‘삼성 관리 의혹 검사’라는 제목의 PPT를 띄우고 “전부터 ‘삼성떡값’이 비슷한 버전으로 비슷하게 (여기저기) 돌고 있다”며 “결국 삼성이 검찰을 거의 장악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삼성 관리대상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누가 만들었는지조차 모른다. 내가 관리대상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도 전혀 없다”며 “떡값은 말할 것도 없고 단돈 10원도 받아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같은 당 박범계 의원은 지난 2007~2008년 ‘삼성 떡값 리스트’ 특검을 지휘했던 조준웅 특별검사조차도 리스트에 올라와 있었음을 언급하며 “후보자도 이에 대해 알고 있던 것 아니냐”고 물었고, 김 후보자는 곧바로 “어떤 경위로라도 연락을 받거나 한 적이 없다. 정확한 내용도 뭔지 모른다”고 일축했다.
이어 박 의원은 김 후보자 자녀의 삼성 입사에 대해서도 “2011년 응시해서 떨어지고 2012년에 채용됐는데, 그해 9월 응시하기 전인 4개월 전에 인턴으로 응시했다가 또 떨어졌다. 인턴으로 떨어진 사람이 4개월 뒤에 정사원으로 합격한 사실이 석연치 않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자 김 후보자는 장남이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학년 때부터 준비를 열심히 했다고 주장하면서 “필기 합격 후 면접에서 떨어졌다. 그래서 인턴으로라도 들어가 보려다 떨어졌고, 다시 공부해서 합격한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서영교 민주당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은 김 후보자 아들의 병역기피 의혹을 제기하며 아들의 신체검사 기록과 윤석열 전 수사팀장에 대한 감찰 관련 회의 내용 등을 자료로 제출하라고 여러 번 촉구했다.
한편, 이날 오후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는 야당 의원들의 다양한 의혹 제기에 여당 측이 “아니면 말고 식의 공격”이라고 맞받아치면서 고성이 오고가다 결국 정회됐다.
이후 인사청문회는 30여분 만에 재개되었으며, 일명 삼성 떡값과 자녀 군 면제 및 입사 특혜 의혹 등 대동소이한 질의들이 이어졌다.
특히 김 후보자는 ‘삼성 떡값 리스트’에 관해 “본인과 전혀 관계도 없는 내용인데 근거도 없이 계속 관련됐다고만 하니 나도 답답한 마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