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시정연설 앞두고 고심, 야당은 압박
민주당 등 야당, 국정원 대선 개입 특검·특위 등 압박 수위 높여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후 첫 국회 시정연설을 앞두고 정치권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박 대통령은 오는 18일 국회를 찾아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할 예정이다. 대통령이 직접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하는 것은 지난 1988년 노태우 전 대통령,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 2008년 이명박 전 대통령에 이어 박 대통령이 네번째다.
현재 여야가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 도입 및 국정원 개혁 관련 특위 설치,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시정연설이 꼬인 정국을 풀 수 있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이번 시정연설에서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예산안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경제살리기와 민생안정을 위한 초당적 협력을 당부할 예정이다.
하지만 민주당 등 야당이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과 국정원 개혁 특위 수용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하며 전방위적으로 압박을 하고 있어 이에 대해 어떤 해법을 찾을지가 박 대통령의 고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용진 민주당 대변인은 17일 오전 국회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이 꼬여있는 정국을 풀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바라는 국민들이 많다"며 "특검과 특위로 개혁을 이루겠다는 대통령의 책임 있는 한 말씀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5일 국회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 대선 개입 관련, 특검 도입, 특위 구성, 경제민주화와 복지공약 이행 등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야당의 요구대로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을 경우 야당은 남은 정기국회 등 연말까지 여당에 대한 투쟁 수위를 초고조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
박 대통령은 이번 시정연설이 여야의 힘겨루기 정국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수 있어 주말에도 공개일정을 잡지 않고 연설 준비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이날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국정원 특검과 특위 수용, 책임자 처벌에 대해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민주당이 지목한 책임자는 남재준 국정원장, 황교안 법무부장관 김관진 국방부장관,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등이다.
또한 시정연설 당일 박 대통령은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 본회의장 들어가기 위해 국회 본청 2층 정문 현관 앞에 마련된 통합진보당의 농성장을 지나쳐야 하기 때문에 통진당 의원들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통진당은 국회사무처의 농성장 철거 협조 요청을 거부하고 계속 농성을 펼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