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공사 의존도 높은 중소건설사 위기 심화
지난해 공공공사 발주 물량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20% 이상 줄어들어 공공공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중소건설사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6일 ‘공공공사 동향 분석 및 시사점’이란 연구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공공공사 발주 물량이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대비 22.7%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견 건설업체들이 주로 수주하는 300억~1000억원 규모의 공공공사는 2008년 253건에서 지난해 155건으로 38.7% 감소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10조6014억원에서 6조4741억원으로 4조1273억원 줄었다.
1000억원 이상 초대형 공사도 건수 기준으로 138건에서 81건으로 41.3%, 금액 기준으로 18조2335억원에서 12조109억원으로 6조2226억원 줄었다.
이 때문에 지방 건설업체 중 공공공사를 한 건도 따내지 못한 업체가 지난해 상반기 2180개(지방 건설업체의 29.6%)에서 올 상반기 2287개(지방 건설업체의 31.3%)로 증가했다.
한편 보고서는 공기업의 부채가 급증하고 지자체는 재정 자립도가 악화되고 있어 향후 공공공사 발주 물량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은정 책임연구원은 “중소 건설업체는 정부가 발주하는 공공공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공공공사 물량의 감소는 중소 건설업체의 부도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며 “지방 경제에서 건설산업의 비중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지방 경제가 더욱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