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민주당 의총서 공천제 개혁안 놓고 이견 발생


입력 2013.12.19 21:00 수정 2013.12.19 21:10        스팟뉴스팀

모바일 투표 폐지에서도 의견 엇갈려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민주당은 19일 내년 6월 지방선거와 관련, 공천제도 개혁안과 모바일 투표 폐지 등을 두고 논의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새 지도부 출범 이후 상향식 공천제도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최고위에서 (공천 관련) 혁신안을 마련했다”며 “이에 대한 의견을 주시면 적극 수용해서 최종안을 만들어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다만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와 관련해서는 “정치개혁특위에서 결론이 어떻게 날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안은 이번에 제시하지 않았다”면서 “선거구가 어떻게 결정될 것인지 여부, 여성에 대한 배려를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한 후에야 그에 맞는 공천제도를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당 상향식 공천제도혁신위원회는 광역단체장 후보 공천시 대의원 및 당원 투표 50%와 당원이 아닌 일반인 투표 50%을 반영하기로 결정했으며, 기존의 모바일투표와 예비경선(컷오프제)은 폐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 의원들이 개혁안에 대해 반대의견을 내면서 이날 의총에서 추인이 불발됐다. 광주를 지역구로 둔 일부 의원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당원이 많은 호남지역의 경우 표의 등가성 측면에서 당원들의 투표권이 침해를 받는다는 취지로 반대 의사를 밝혔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그간 당내에서 쟁점이었던 모바일 투표 폐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졌다. 모바일 투표 도입 자체에 대해서는 큰 이견은 없었지만 선거인단 모집 여부 등 각론에서 의견을 모으지 못한 것이다.

지도부는 모바일 투표를 실시하되 선거인단 모집은 폐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일부 의원들은 “모바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면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모바일 투표 유지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정호준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전국 단위는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는 게 맞지만 기초 단위나 지역 단위 선거에서는 (선거인단 동원의) 한계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이야기가 많았다”며 “모바일 투표를 (아예) 하지 말아야 된다고 말한 사람은 없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