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내 카드사 정보유출 됐다는데 "아무도 몰라?"


입력 2014.01.15 16:49 수정 2014.01.15 16:58        윤정선 기자

유출된 정보 파악 못 해 회원에게도 못알리는 '웃픈(웃기고도 슬픈)' 상황?!

카드사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을 개발하던 용역지원에 의해 카드회원 정보 1억400만건이 유출되는 사상 최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데일리안

카드사 회원정보가 유출됐음에도 금융당국과 카드사의 안일한 대처로 자신의 정보가 유출됐는지 여부조차 확인하지 못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1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2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3개 카드사(△농협카드 △국민카드 △롯데카드) 회원정보 1억400만건이 유출됐다. 검찰 발표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개인의 우발적 범죄가 아닌 금융정보를 대출모집인에게 팔아넘기기 위한 개인신용평가회사 KCB 용역직원의 계획적인 범죄다. 정보유출로 인한 2차 피해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실제 지난해 10월 검찰은 대출모집인이 카드회원 정보를 사들여 범죄에 악용한 사실을 적발했다. 여기에는 카드사에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같은 신용대출을 받은 사람이 표적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김영진 창원지검 차장검사는 지난 8일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원본과 복사본을 압수해 확산이 차단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추정'과 '강조' 사이에 간극은 컸다. 사상 최대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파장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유출된 개인정보 중 카드 승인내역과 같은 금융정보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카드회원의 불안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과 카드사도 불안한 회원을 진정시키는 데 제대로 된 역할을 못 하고 있다.

롯데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조재민씨(남, 28)는 "내 정보가 이번에 유출된 정보에 포함돼 있는지 카드사가 알려줘야 하는 거 아니냐"며 "이제 대출 안내 전화나 문자만 와도 이번 일 때문인 것 같다"고 쏘아붙였다.

이어 그는 "검찰이 유출된 정보를 압수했다는 데 그러면 기술적으로도 카드회원에게 확인해 줄 수 있는 게 아니냐"고 반문했다.

온라인에서도 불안감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네티즌 아이디 '7star****'는 "만약 유출된 정보로 '어느 날 어디서 무엇을 사셨죠?'라고 이벤트 당첨됐다고 사기치는 전화 오면 속기 쉽겠다"면서 "금융정보도 유출됐다고 하는데 피해 막으려면 회원에게 빨리 알려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현재 검찰은 수사가 진행 중이고 중간 수사결과를 카드사에 알릴 의무가 없다는 입장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유출된 정보를 가진 검찰이 어느 회원의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당분간 카드사에 알려줄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결국, 지금으로선 카드사나 금융당국의 자체 검사로 유출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마저도 사실상 검찰의 협조 없이는 최종 확인이 불가능하다.

카드사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어느 회원의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면서 "USB에 옮겨진 기록을 토대로 유출 사실을 확인했다 해도 이게 빠져나간 정보가 맞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카드사 관계자는 "지금 검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우리로서 알 방법이 없다"며 "민감한 문제다 보니 보안이 심해 어떤 정보가 어떻게 흘러나갔는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검찰과 관련 내용을 잘 협조하고 있다"면서 "이르면 이번주 중에 피해 고객에게 통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알렸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선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갖고 고객에게 통지하면 불안감만 더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윤정선 기자 (wowjot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윤정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