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19년 만에 서류 제도 부활 "과열 해소 목적"
삼성 측 "스펙 보기 위한 것 아냐, 핵심은 창의성·전문성 측정하는 에세이"
삼성그룹이 올해부터 대졸 신입사원 채용 제도를 전면 개편해 서류 전형을 부활시키겠다고 밝혔다. 지난 1995년 폐지 이후 19년 만이다.
삼성은 그동안 ‘열린 채용’을 표방하며 필기시험인 삼성직무적성검사(SSAT)를 도입해 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고 누구나 채용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해왔다. 그러나 해당 시험에 작년 한해에만 무려 20만 명의 지원자들이 몰려들고, 이들 중에는 합격을 위해 고액 과외를 받는 등 각종 사회적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에 삼성은 응시 과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부터 공채 제도를 변경하겠다는 것이다.
15일 이인용 삼성 커뮤니케이션팀장은 “열린 채용 기조를 유지하면서 채용 방식을 다양화하는 형태로 제도를 개선하기로 결정했다”며 “평상시 삼성과 직무에 관심을 가지고 준비한 사람들이 더 많이 발굴될 수 있도록 서류전형을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원자들은 그리 반가운 소식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앞으로 삼성 채용에서 학점, 토익, 자격증 등 이른바 ‘스펙’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부터 앞서기 때문이다.
이에 이 팀장은 “내가 원하는 직무를 위해 어떤 준비가 돼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지 스펙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다”고 설명하며 “서류전형의 핵심은 창의성과 전문성을 측정하는 에세이 평가”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채용 제도 개편에는 ‘총·학장 추전제’도 도입될 예정이다. 전국 200개 대학 총장 혹은 학장의 추천을 받으면 서류전형 없이 곧바로 필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또한 ‘찾아가는 열린 채용제’를 통해 삼성 임직원이 직접 대학을 방문하여 후배들을 면접한 뒤 서류전형을 면제해 주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
이밖에 삼성 측은 새로운 입사 제도에서 기존 지방대 35% 채용방침은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