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상민 "당 원내지도부, 대통령 경호부대 아니다"


입력 2014.01.24 16:15 수정 2014.01.24 16:59        조소영 기자

"지도부가 대변해야할 대상은 국민" 맹비난

김상민 새누리당 의원이 24일 국회 정론관에서 당 원내지도부가 카드사 개인정보유출 사태와 관련,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망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침묵하고 있다며 각성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김상민 새누리당 의원이 24일 당 원내지도부가 카드사 개인정보유출 사태와 관련,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망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침묵하고 있다며 각성할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원내지도부는 귀태 발언 등 몇 차례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이 모욕당했을 때 발언 당사자의 사태를 요구하고 신속하고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며 “하지만 현재 정부 관료로부터 국민이 모욕당하고 고통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책임 당사자들의 사퇴를 요구하기는커녕 감싸돌기식 침묵으로만 일관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그는 이어 “이게 도대체 과연 진정한 집권여당 원내지도부의 모습인가. 대통령에 대한 비상식적 발언 등에 대응하던 집권여당 원내지도부의 강력한 리더십은 어디로 간 것인가”라며 “국민이 정부에게 모욕을 당한 마당에 국민이 지지해준 집권여당이 분노하고 대신해 싸우지 않는다면 국민의 현실과 마음은 대체 누가 대변해준다는 말인가”라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새누리당 원내지도부가 대변해야 할 대상은 대통령이 아니라 바로 국민”이라며 “우리는 대통령의 경호부대가 아니라 국민의 경호부대로, 대변자로 머슴처럼 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 원내지도부가 이번 사태 총책임자에 대한 ‘강력한 조치’에 앞장서주길 촉구한다”고도 했다.

초선 의원인 김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내던 당시 청년 몫 비례대표로 발탁돼 국회에 입성했으며, 비대위원장으로 활동했던 이준석 클라세스튜디오 대표와 2012년 4.11총선 당시 부산 사상에 출마했던 손수조 현 부산 사상 지역위원장 등과 함께 ‘박근혜 키즈’로 불리기도 했다.

김 의원은 이어 여야가 함께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대란 수습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입장 속에서 국민의 마음을 갖고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국회가 이 사태를 수습하고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현 부총리와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을 이번 사태의 책임자로 규정하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금융당국은 이번 정보 유출 사태에 대한 책임 주체로서 즉시 사퇴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수습의 주체인양 자신들의 책임을 교묘히 회피하며 버티기식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번 사태의 실제 수습은 금융당국이 아닌 피해를 당한 국민이 스스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피해를 입은 국민 중 한 사람인 콜센터 직원들과 은행 창구 직원들이 모든 감정노동을 감수하면서 이 사태를 수습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자신들의 권한만 확대한 허울뿐인 대책만 늘어놓고, 등 떠밀려 마음에도 없는 사과문만 앵무새처럼 읽을 뿐 진정어린 반성과 책임지는 자세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잘못된 의식과 인식을 갖고 있는 금융당국에게 국민은 고통 속에 있는 우리나라 경제를 믿고 맡길 수가 없다”며 “금융당국 수장의 전격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수습은 능력과 자격, 자질 없는 자가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 23일에도 기자회견을 갖고 이른바 ‘현오석 사태’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인 바 있다. 그는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하지 못할망정 국민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훈계하는 발언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과연 이 정부의 경제수장으로서 국민을 위한 정부를 만들 수 있을지 의심”이라고 쏘아붙였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