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국민에 상처주는 말 없길…재발시 책임"
수석비서관회의서 “국민 마음 헤아리는 자세로 일해야”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국민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하는 공직자가 없기를 바란다”며 “이런 일이 재발할 때는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카드 개인정보 유출사태와 관련한 실언에 대해 공개적으로 강하게 질타했지만 당장 경질할 의사는 없음을 내비쳤다.
최근 현 부총리는 “우리가 다 정보제공에 동의해줬지 않느냐”며 “어리석은 사람은 무슨 일이 터지면 책임을 따지고 걱정만 하는데 현명한 사람은 그걸 계기로 해서 대책을 마련한다”고 언급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박 대통령은 “최근 공직자들이 적절치 못한 발언으로 국민 마음에 상처를 주고 불신을 키우고 있어 유감”이라며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한마디는 책임감과 무게가 따른다. 본인 입장에서가 아닌 국민의 마음을 헤아리는 자세로 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금융사 대상의 철저한 조사와 엄중한 책임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금융회사는 고객의 신뢰와 신용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데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며 “다시는 국민들에게 이런 피해가 없도록 철저한 원인규명과 근본적인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문제가 발견된 3개 카드사 외 다른 회사에서는 유출이 없었는지 전 금융사 대상으로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이라며 “소비자의 피해가 발생할 경우 카드사가 전액 보상한다는 점을 확실히 하고 책임소재를 가려서 엄중히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외국의 경우는 운전면허번호 등 다양한 식별방법이 활용되는 것으로 안다”며 “우리는 주민등록번호가 대다수 거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서 한번 유출이 되면 그 피해가 2차 3차 피해로 확산될 위험성이 있다.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해서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없는지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조류인플루엔자(AI) 전국 확산과 관련해 “많은 국민이 이동하는 설 전에 철저한 대책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