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윤진숙 장관 “러시아 극동항만 개발, 적극 나설 때”


입력 2014.01.28 07:02 수정 2014.01.28 07:10        데일리안=이소희 기자

타당성 조사해야…러시아산 수산물 쿼터량에도 영향, 2월경 협상 예정

지난주 한-러 항만개발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차 러시아를 다녀온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이 러시아 극동지역 항만 개발에 대해 “이제는 우리가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윤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극동항만은 우리와 가까워서 해야 할 일이 꽤 있는데, 그동안은 멀리 떨어져 남의 일을 보듯이 했다”면서 적극 개발 의지를 내보였다.

또 윤 장관은 이런 극동지역 개발사업 참여가 러시아 수산물 쿼터제와도 연동돼 있어 원하는 만큼의 쿼터량 확보 측면에서도 투자개발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해봐야 할 시기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해수부는 2015년까지 블라디보스토크, 포시에트, 보스토치니, 나호드카, 바니노항 등 러시아 극동 5개 항만 현대화와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타당성 조사를 벌릴 계획이다.

관련 수산부분에 대해서는 “지난해 확보한 러시아산 명태 쿼터량이 총 4만 톤이었는데, 이는 2만톤 쿼터에 우리의 극동지역 관련투자 실행여부를 보고 2만톤의 쿼터를 더 주는 식”이라며 “아직 투자가 안 일어난 상태로 투자에 대해서도 한 번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어 윤 장관은 “지난해는 5월에 협상이 끝나 쿼터를 다 소진하지 못했다”면서 “때문에 올해는 한·러 어업쿼터 협상을 빠른 시일 내에 할 것을 러시아에 주문했고, 러시아 수산청장이 2월에 우리나라를 방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장관은 러시아 측에서 가장 원하는 요구사항은 불법 어업물에 대한 항만국 검색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윤 장관은 “러시아 정부는 자국 해역에서 불법어업으로 잡힌 게가 우리나라를 통해 일본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 하고 있다”며 “수입업자들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조업한 것처럼 어획증명서를 바꿔서 일본으로 환적해 나가는 것을 통제해달라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러시아 정부의 요구에 이미 우리는 원양산업발전법에 항만국 검색을 명시해 놓았고, 31일부터는 이에 따른 IUU(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 수산물 적재 선박에 대한 항만국 검색이 본격 시행된다.

해외에서 어획된 수산물을 적재한 어선과 활어 화물선, 냉장·냉동 화물선, 컨테이너선은 입항 후 24시간 내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에게 입항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 중 국제수산기구 관리어종과 왕게·대게 적재 선박, 국제수산기구의 IUU 등재선박 등이 항만국 검색을 받는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