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공동 포럼' 발족...매년 최대 700억 지원
정부가 최근 스마트폰 후속 제품으로 부각되고 있는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산업을 창조경제 핵심 성장동력으로 육성키로 하고 '민-관 공동 포럼'을 발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포럼' 발족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삼성, LG 등 대기업 뿐 아니라 전문가 200여명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향후 웨어러블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하고 관련 트렌드 및 법·제도 등을 통합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미래학자, 디자이너 및 법률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가를 위촉했다"고 말했다.
또한 산업부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육성을 위해 대형·장기 R&D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현재 예산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올해 중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될 경우 오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 동안 매년 400억~700억원 규모의 예산 지원을 받게 된다.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는 안경·시계·팔찌 등 신체에 부착해 정보를 입력·출력·처리하는 전자기기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산업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사업은 웨어러블 분야에 특화된 핵심 부품과 소재·요소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우리나라가 전기·전자, ICT, 섬유 등의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웨어러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과 역량이 부족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산업부는 4대 소재·부품(입력·출력·처리·전원)과 3대 플랫폼(생활·문화, 특수업무, 사용자 기기 연결) 등의 분야에 특화된 핵심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산·학·연과 손을 잡고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산업을 창조경제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