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81% '취업에 불필요한 스펙' 무엇인가 보니...
응답 기업 44.4%, '석·박사 학위' 가장 불필요한 스펙으로 선택
토익, 학점 등 이른바 ‘스펙’을 쌓기 위한 구직자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취업에 불필요한 스펙이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국내 기업 175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81.1%가 ‘신입 지원자들이 취업을 위해 쌓는 스펙 중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있다”고 대답했다.
이들 기업이 가장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스펙 1위에는 ‘석사, 박사 학위’(44.4%, 복수응답)가 꼽혔다.
그밖에 ‘국토순례 등 극기경험’(40.8%), ‘회계사 등 고급 자격증’(32.4%), ‘한자 자격증’(31.7%), ‘아르바이트 경험’(31.0%), ‘창업 등 사업 경험’(30.3%), ‘학벌’(26.8%), ‘제2외국어 성적 및 능력’(26.8%), ‘동아리 활동 경험’(26.8%), ‘봉사활동 경험’(22.5%)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해당 스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기준으로 ‘직무와 무관한 스펙’(88.0%, 복수응답)을 선택했다. 이어 ‘누구나 가진 획일화된 스펙’(41.5%), ‘일정점수에 도달하지 못한 스펙’(32.2%), ‘기준을 과도하게 뛰어넘은 스펙’(22.5%), ‘자격조건에 명시되지 않은 스펙’(21.8%), ‘취득한 지 오래된 스펙’(20.4%) 순이었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19%는 불필요한 스펙을 갖춘 지원자에게 감점 및 불이익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59.3%(복수응답)의 기업이 ‘목표가 불명확한 것 같아서’라고 답했다. 또 ‘높은 연봉 등 요구 사항이 많을 것 같아서’(40.7%), ‘실무 능력은 갖추지 못한 것 같아서’(25.9%) 등을 꼽았다.
실제 무려 85.2%에 달하는 기업이 감점으로 인해 탈락한 지원자가 있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한편, 잉여스펙이 생기는 이유로는 ‘구직자들의 무분별한 스펙쌓기’(60.0%, 복수응답), ‘스펙으로만 인정받는 사회풍토’(53.1%), ‘제대로 된 취업준비 방법 교육의 부재’(37.7%), ‘기업들의 모호한 평가 기준’(36%) 등이 있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